논문제목 1 State Space를 이용한 아웃바운드 국제관광수요에 대한 연구
논문제목 2 A study on the Outbound International Tourism Demand using the State Space Model in Korea
주저자/소속 이경희/강원대학교 공동저자/소속 김경수/강원대학교
학술지명 경영교육연구 발행기관명 한국경영교육학회
권(호) 29(2) 발행년월 2014년 4월
시작/ 끝 페이지 132/153 총페이지 22
언어 한국어
초록1 본 연구는 한국의 관광지출액을 바탕으로 칼만필터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태공간모형으로 추정된 국제관광수요모형의 탄력성을 조사하는데 있다.
분석결과는 첫째, 장기상태공간모형에서 4개(미국, 일본, 중국 및 영국)의 자체가격탄력성과 중국의 소득탄력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고 다른 소득과 대체가격탄력성은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모든 자체가격탄력성이 비탄력적이었고 보완재의 관계가 존재하였고, 모든 소득탄력성이 비탄력적으로 소득변화에 둔감하여 필수재로 취급되었으며, 대체가격탄력성은 비탄력적이고, 미국과 독일은 대체재, 일본, 중국, 영국 및 대만은 음(-)의 값으로 보완재의 관계가 존재하였다. 셋째, 오차수정모형을 결합한 단기상태공간모형의 결과에서 대만의 대체가격탄력성만이 유의하였으나, 모든 소득, 대체 및 자체가격탄력성은 유의하지 않고 기대부호도 불일치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상태공간모형으로 추정된 국제관광수요모형에 오차수정모형을 결합한 단기상태공간모형은 장기상태공간모형에 비해 더 우수한 결과를 보여주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앞으로 추가적인 모형에 여러 제약조건들이 설정된다면 더욱 좋은 결과를 보여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초록 2 This paper attempts to investigate the elasticity of international tourism demand models with state-space model estimated by the Kalman filter algorithm that is based on a Korean tourist expendi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own price elasticity of US, Japan, China, UK and the income elasticity of China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inelastic, but other income and substitute price elasticity are not significant and inelastic insensitive to changes and treated as necessities and complements respectively. Second, in the short-term state-space model of that combines the error correction model, only substitute price elasticity of Taiwan is significant. Third, the own price elasticity, income elasticity and substitute price elasticity are not significant and do not match with the expected sign. Therefore, in this study, when the short-term state space model combined to the error correction model in international tourism demand models is compared to the long-term state-space model, it does not show better results confirmed. Some restrictions would be set on the model in the specifications, we expect to show better results in the future.
키워드1 칼만필터, 상태공간, 관광수요, 탄력성
키워드2 Kalman filter, State Space, tourism demand, elastic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