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제목1 사회적기업가 대학원 커리큘럼 개선방안 연구- 창업교육을 중심으로 -
논문제목2 A Study on curricula improvement for social entrepreneurs at graduate education – focusing start-up capabilities -
주저자/소속 강민정/한국과학기술원 공동저자/소속 강예원/한국과학기술원
학술지명 경영교육연구 발행기관명 한국경영교육학회
권(호) 29(2) 발행년월 2014년 04월
시작/끝 페이지 477/508 총페이지 32
언어 한국어
초록 1 사회적기업 도입 초기에 발굴되었던 신규 사업모델들은 성장기에 접어들고 있고, 단순 일자리 창출과 복지서비스 대체에서 벗어나 교육과 문화, 예술, 국제 협력 등을 주제로 하는 다양한 사회 혁신형 사회적기업들이 등장하는 등 최근 사회적기업 생태계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중이다. 사회적 영향력이 큰 동시에 사업의 지속적 성장가능성이 큰 사회적기업을 지속적으로 창조해 내기 위해서는 경영 역량뿐만 아니라 창업 역량(entrepreneurship)이 강한 사회적기업가를 체계적으로 육성할 필요가 있으나, 창업 교육에 초점을 맞춘 사회적기업가 교육과정은 아직 개발 초기 단계에 있다. 본 논문은 ‘사회적기업 창업인재 발굴 및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는 커리큘럼 개발을 위해 현재 국내외 대학원 과정에 개설된 사회적기업가 교육과정의 커리큘럼을 비교 분석하고, 개선 방향 도출을 위해 해외의 창업교육 커리큘럼을 비교 검토하였다. 사회적기업가의 신규 사업모델 발굴 및 창업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첫째 교육과정 개발 시 교육 주체가 지향하는 사회적기업가 인재상과 교육철학을 정립하고, 이에 근거한 과목 개발을 체계적으로 진행할 필요가 있다. 둘째, 창업가(entrepreneur)의 마인드로 신규 사업모델을 발굴하고 회사를 경영할 수 있도록, 창업교육과 경영교육이 통합된 교육 콘텐츠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창업 교육과정의 경우, 초기 사업모델 발굴단계에서 창업 후 사업 성장까지 창업의 전-중-후 단계를 포괄할 필요가 있다.
초록 2 Thi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analyze the current curricular of social entrepreneurship education at the level of master degree in graduate school, which have recently launched in the United States, UK and Korea.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rapid changes in social enterprise ecosystem in Korea call for an education program which is systematically designed for enhancing social entrepreneurs’ start-up capability, an in-depth analysis on curricula of entrepreneurship field was conducted as well with the intention of finding out pedagogical insights. To develop a curriculum for fostering prospective social entrepreneurs with competitive venture creation capabilities, first, it is prerequisite to establish core abilities and attributes of a social entrepreneur that the courses aim to develop. Second, venture creation and managerial issues need to be delivered in forms of integrated contents. Finally, courses for business start-up need to cover the whole stage of venture life cycle; from opportunity analysis to growth strategy after completion of start-up process.
키워드1 사회적기업가 교육, 사회적기업가 육성, 사회적기업가 커리큘럼, 창업역량, 사회적기업가정신
키워드2 Curriculum for Social Entrepreneurship, Venture Creation, Start-up Capabilities, Social entrepreneurship, Social Entrepreneu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