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제목 1 The Effects of Temporal Distance on Choice of Investment Options
논문제목 2 시간적 거리가 소비자들의 투자옵션 선택에 미치는 영향
주저자/소속 김희영/서강대학교 공동저자/소속 정성희/동국대학교 교신저자/소속 허 정/서강대학교
학술지명 경영교육연구 발행기관명 한국경영교육학회
권(호) 28(6) 발행년월 2013년 12월
시작/ 끝 페이지 383/396 총페이지 14
언어 영어
초록1 The current research investigates investors' perceived temporal distances from investment timing as antecedents of myopic loss aversion and examines how the portions of investment in bonds and stocks differ according to the temporal distance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between-subjects factorial design. The study manipulated two different situations: subjects were asked to buy funds either in one week or in two years; and compared the results of the investment portions they decided.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indicate that subjects tended to invest more in stock funds when the investment timing was distant. It can be construed that consumers become more oriented to high-level goal of high yields when they form a representation of distant future about the investment timing, in turn, less loss-aversive, while they become more sensitive to details when the investment time is in the near future, which, in turn, often results in myopic loss aversion. The following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mentioned in the discussion.
초록2 본 연구는 근시안적 손실 회피 경향의 선행변수로써 투자시점으로부터 시간적 거리가 가깝게 지각되는지 혹은 멀게 지각되는지에 따라 소비자들의 주식과 채권에 대한 투자비율이 달라질 수 있음을 보고자 하였다. 집단 간 요인설계를 통해 실험참가자를 각 조건에 무작위로 할당한 후 실험참가자로 하여금 동일하게 조작된 2년간의 분기별 수익정보를 본 후 채권 및 주식 비율을 100% 중 어느 정도의 비율로 할 것인지를 응답하도록 하였다. 실험 결과, 소비자들은 투자시기가 먼 미래일 경우 상대적으로 (vs. 가까운 미래) 주식 자산에 투자하려는 경향이 더 강하게 나타났다. 투자시기가 먼 미래로 표상된 소비자들은 높은 수익률이라는 상위 차원의 목표에 집중하게 되면서 근시안적 손실 회피 행동이 줄어든 반면, 투자시기가 가까운 미래로 표상된 소비자들은 투자 결과의 세부사항에 민감해지면서 근시안적 손실 회피 경향이 더 강하게 일어났다. 이를 바탕으로 투자 상품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응대 매뉴얼 개발과 관련한 시사점을 이끌어 낼 수 있었다.
키워드1 Myopic Loss Aversion, Construal Level Theory, Temporal Distance
키워드2 근시안적 손실회피, 해석수준이론, 시간적 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