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게재논문 원문서비스

[제28권 6호]윤리부조화-태도 간 관계에 대한 탐색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172
논문제목 1 윤리부조화-태도 간 관계에 대한 탐색

논문제목 2 An Exploratory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Dissonance and Attitudes

주저자/소속 박양규/건국대학교

학술지명 경영교육연구 발행기관명 한국경영교육학회

권(호) 28(6) 발행년월 2013년 12월

시작/ 끝 페이지 631/648 총페이지 18

언어 한국어

초록1 최근에 지속가능경영에 대한 관심으로 인해 기업의 친환경성과 함께 사회 공동체의 주요한 일원으로서 기업의 윤리경영이 크게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기업윤리관련 연구는 일반론적인 초기 연구 단계에 머무르고 있다. 기업윤리는 기업조직의 구성원이 추구하는 가치나 행동기준과 갈등을 빚을 수도 있고 사회적으로 기업의 윤리적 행동 관련한 높아지는 기대는 기업으로 하여금 윤리 관련한 규범적이고 명목적인 강령의 제정을 압박하여 실제 행동과의 괴리를 더욱 키울 수 있다. 이 경우 조직의 구성원은 심리적인 갈등이나 스트레스를 경험할 수 있고 이는 직무수행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그러나 기존 연구에서 이런 심리적이고 미시적 차원에 대한 탐색은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업윤리 관련해서 조직구성원들이 윤리적 차원의 부조화를 느끼는지 그리고 윤리부조화가 존재한다면 어떤 형태를 보이는지 또한 윤리부조화가 직무태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연구 과제를 통해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윤리부조화를 부정적인 측면에서 크게 느끼는 집단, 윤리부조화가 긍정적인 특성을 보이는 집단과 윤리부조화를 거의 느끼지 못하는 집단이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윤리부조화-태도 간의 관계를 탐색한 결과 윤리부조화는 정서적 몰입과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록2 Recent increased emphasis on sustainability in management makes corporates pay attention to business ethics. However, previous relevant research presents mainly a general theoretical frame to the ethical issues. Since ethics in organizations are value based issues containing moral philosophy, employees experience conflicts between their values and the normative and nominal codes of ethics established in organizations. In particular, more social pressure to business ethics can increase the gap between existing enforced ethical behaviors to employees and ethical standards in organizations. In this case, employees feel cynical psychological tension or stress so that job performance can be reduced. Despite this influence of business ethics on individuals in organizations, no relevant research explores at individual psychological level. Hence this study provides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to be tested.
Research question 1: Do employees experience ethical dissonance in organizations?
Research question 2: Does ethical dissonance influence on employee attitudes?
Findings show that there are three groups in ethical dissonance in organizations (group perceived less ethical, more ethical than ethical standards in organizations and little gap) and the ethical dissonance has a positive influence on affective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키워드1 윤리부조화, 정서적 몰입, 직무만족, 마노바

키워드2 Ethical Dissonance, Affective Commitment, Job Satisfaction, MANOVA
 첨부파일
26-13-180.pdf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