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게재논문 원문서비스

[제28권 6호]Cash Holding Levels and Partial Adjustmen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172
논문제목 1 Cash Holding Levels and Partial Adjustments Toward Optimal : Evidence from three Asian Countries

논문제목 2 기업의 최적현금보유와 부분조정 : 한국, 대만, 일본의 비교 연구

주저자/소속 류성희/단국대학교 교신저자/소속 임석필/단국대학교

학술지명 경영교육연구 발행기관명 한국경영교육학회

권(호) 28(6) 발행년월 2013년 12월

시작/ 끝 페이지 681/705 총페이지 25

언어 영어

초록1 Three issues are addressed in this paper; What are the important cash holding determinants? Do firms adjust cash levels toward their optimal ones? Does holding more cash contribute to stock return? The data cover between 1998 and 2008 for firms from Korea, Taiwan and Japan. We find that earning volatility, profit and asset tangibility are identified as the most important determinants for cash holding; and firms adjust cash levels toward their optimal ones. Our findings also indicate that high profit increases cash holding level. These three findings indicate that firms' cash holding behaviors can be explained by both the trade-off and pecking order theories. The relationships and the magnitudes of relationships between cash holding level and stock return are not the same across the countries, although they are generally negatively associated. We also observe substantial differences between countries in important cash holding level determinants and adjustment speed and patterns.

초록2 본 논문에서는 1998년부터 2008년 사이의 한국, 대만, 일본 자료를 이용하여 기업의 현금보유와 관련하여 세 가지 주제를 조사하였다. 기업의 현금 보유량을 결정하는 중요한 변수는 무엇인가? 기업은 자신들의 현금 보유량을 최적 수준으로 조정하려고 노력하는가? 기업의 현금 보유 수준이 기업의 가치(주가)에 영향을 미치는가?
그 결과 연간수익의 변동성, 영업이익, 그리고 유형 자산의 보유 수준이 가장 중요한 현금 보유 결정요인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기업은 현금 보유 수준을 최적 수준이 되도록 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업이익이 기업의 현금 보유량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위의 세 가지 발견은, 기업의 현금 보유량이 trade-off와 pecking order 이론 모두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설명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기업의 현금 보유량과 다음 기의 기업 가치는 부(-)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대상인 3개 국가에서 비슷한 현상을 관찰하였으나, 국가 간의 차이역시 존재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특히, 중요한 현금 보유 변수나 현금 보유조정 속도 등에서는 국가 간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키워드1 cash holding level, financial leverage, bankruptcy, partial adjustment, GMM

키워드2 현금보유수준, 재무레버리지, 부도위험, 부분조정, GMM
 첨부파일
28-13-184.pdf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