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게재논문 원문서비스

[제28권 5호]대학 저학년생의 직업 지향성, 경력 초점, 전공 만족도 및 취업 준비도

조회수 : 252
논문제목1 대학 저학년생의 직업 지향성, 경력 초점, 전공 만족도 및 취업 준비도 분석

논문제목2 The Analysis of Occupational Orientation, Career Anchors, Major Satisfaction, Career Preparation for Freshman and Sophomore

주저자/소속 지성구/한밭대학교 교신저자/소속 송윤희/안양대학교

학술지명 경영교육연구 발행기관명 한국경영교육학회

권(호) 28(5) 발행년월 2013년 10월

시작/끝 페이지 573/598 총페이지 26

언어 한국어

초록1이 연구는 대학 저학년생의 직업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 직업 지향성, 경력 초점, 전공
의 취업 관련 만족도, 취업 준비도를 분석하였다. H대학교 1학년과 2학년 1,413명으로부터 2012년 2학기에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기술통계, t-검정 및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직업 지향성의 총 평균 3.95로 인간관계지향, 노동조건지향, 직무도전지향 순으로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경력 초점의 총 평균은 3.72로 안정, 일․가정 양립, 자율, 전문성, 봉사, 도전, 창업 순으로 평균이 높았다. 전공의 취업 관련 만족도 평균은 3.20, 취업 준비도의 평균은 3.04로 나타났다. 취업준비도가 높은 학생일수록, 직업 지향성의 모든 면에서 높았고, 경력 초점도 대부분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즉, 취업 준비도가 높은 학생이 전문성, 도전적인 경력에 보다 관심이 높았고, 취업 준비도가 낮은 학생은 안정과 일․가정 양립을 중요시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대학 내 진로 및 경력개발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초록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occupational orientation, career anchors,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preparation for freshman and sophomore students. Participants were 1,413 students at H University during the fall semester of 2012.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The research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mean score of occupational orientation was 3.95. The mean score of human relationships orientation was higher than the mean score of duty challenge orientation and the mean score of working conditions orientation. Second, the average mean score of career anchors was 3.72. The mean score of security/stability was the highest in the subfactors of career anchors. Third, the mean score of major satisfaction was 3.20. Fourth, the mean score of career preparation was 3.04. When students perceived their career preparation as high, they also reported higher occupational orientation and career anchors. Specifically, students of higher level in career preparation were concerned with technical/functional competence and pure challenge, but students of low level in career preparation were interested in security/stability and lifestyle. Findings can be utilized as basic references for promoting career development programs in universities.

키워드1 직업 지향성, 경력 초점, 전공 만족도, 취업 준비도

키워드2 occupational orientation, career anchors, major satisfaction, career preparation
 첨부파일
23-13-146.pdf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