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게재논문 원문서비스

[제28권 4호]모바일 SNS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요인과 관여도의 조절역할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195
논문제목1 모바일 SNS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요인과 관여도의 조절역할

논문제목2 The Antecedents of Use Intentions in Mobile SNS: The Moderating Roles of Involvement

주저자/소속 정덕화/배재대학교, 정철호/목원대학교

학술지명 경영교육연구 발행기관명 한국경영교육학회

권(호) 28(4) 발행년월 2013년 8월

시작/끝 페이지 21/45 총페이지 25

언어 한국어

초록1 본 연구의 주목적은 모바일 SNS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모바일 SNS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모바일 SNS에 대한 즉시접속성, 상황기반 제공성, 자기효능감, 혁신성,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즐거움 등이 모바일 SNS 지속적인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첫째, 즉시접속성과 자기효능감은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즐거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상황기반 제공성과 혁신성은 지각된 유용성에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지각된 용이성과 즐거움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즐거움은 이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관여도는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즐거움과 이용의도간의 관계에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SNS 운영자에게 이론적·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초록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instant connectivity, contextual offer, self-efficacy, innovativeness,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playfulness, and use intention of
mobile SNS. The results of hypotheses testing through covarianc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stant connectivity and self-efficacy have positive influence upon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playfulness. Second,
contextual offer and innovativeness have positive influence upon only perceived
usefulness, however, contextual offer and innovativeness have no effect on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playfulness. Third,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playfulness have positive influence upon use
intention. Finally, involvement has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relationship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playfulness, and use
intentions. Based on the result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키워드1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즉시접속성, 상황기반 제공성, 자기효능감, 혁신성,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즐거움, 이용의도, 관여도

키워드2 Social Network Services(SNS), Instant Connectivity, Contextual Offer,
Self-Efficacy, Innovativeness,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Playfulness, Use Intention, Involvement
 첨부파일
02-13-053.pdf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