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게재논문 원문서비스

[제28권 2호]Stock Price Response to Voluntary Carbon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149
'논문제목1 Stock Price Response to Voluntary Carbon Information Disclosure: The Moderating Effect of Carbon Risk Management

논문제목2 자발적인 탄소정보공개에 대한 주가반응: 탄소리스크관리의 조절효과

주저자/소속 박윤선/순천대학교

학술지명 경영교육연구 발행기관명 한국경영교육학회

권(호) 28(2) 발행년월 2013년 4월

시작/끝 페이지 57/76 총페이지 20

언어 영어

초록1 Investors have increasingly requested firms to provide their carbon-related information in order to assess potential values and risks in a more proper way. Carbon information disclosure has now become a key issue to companies as well as to financial institutions. The carbon disclosure project (CDP) is the most reliable carbon information source and more than 400 financial institutions are participating in it. Companies, usually large-sized and globally operated firms, are asked to disclose their carbon information including greenhouse gases (GHG) emissions, potential risks regarding to climate change, and carbon strategies and practices for reducing risks and harvesting potential opportunities. However, very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investigating how carbon information disclosure influences financial stock markets, in others words, how stock price responds to a firm's carbon disclosure.
We analyze the effect of CDP disclosure on stock markets using CDP Korea data. This paper is the first to investigate the stock response about carbon disclosure and carbon risk management. Firstly, We analyze how CDP disclosure affects shareholder wealth of companies responding to the CDP 2008 and 2009. we find that CDP disclosure has significantly negative cumulative abnormal return for a week after the announcement day. The intensive emission firms have more severe negative shock. We can't find a significantly systematic pattern for the CDP non disclosure. Therefore, Carbon disclosure is
at least a cost factor in the short run.
Secondly, We investigate whether carbon risk management reduces the negative CDP disclosure effect. In the emissions intensive industry, managing carbon risk well reduces the negative CDP disclosure effect on the stock price. High carbon risk management firms have less negative stock responses than low carbon risk management firms.
These findings suggest the following three main results. Firstly, In the short run, CDP disclosure is a cost factor. Secondly, Investors view energy intensive firms with more carbon risk management as better prepared for possible future environmental regulations. Finally, investors view the CDP disclosure of the non energy intensive firms as a bad news, such as a cost burden.

초록2 투자자들은 적절한 방법으로 기업의 가치와 위험을 평가하기위해 기업에 탄소와 관련된 정보공개를 요청하고 있다. 탄소정보공개는 금융기관뿐만이 아니라 기업에게 큰 이슈가 되고 있다.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CDP)는 가장 신뢰성 있는 탄소정보원천이며 400개 이상의 금융기관이 참여하고 있다. 대규모그룹이나 글로벌하게 운영되고 있는 회사들은 온실가스배출, 기후변화에 관련된 잠재적인 위험, 그리고 위험을 줄이고 잠재적인 기회를 획득할 수 있는 탄소전략을 포함한 탄소정보를 공개하도록 요청받는다. 그러나 탄소정보공개가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 즉 주가가 기업의 탄소정보공개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진 적이 없다.
본 논문은 CDP korea 자료를 이용하여 CDP공개가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이연구는 탄소정보공개와 탄소리스크관리에 관한 최초의 연구이다. 본 논문은 CDP공개가 CDP2008과 CDP2009에 응답한 회사들의 주주의 부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석했다. 분석결과 CDP공개가 공표일 이후 일주일동안 유의적으로 음의 누적비정상수익률을 가져온다는 것을 발견했다. 온실가스 다배출 기업은 더 심각한 음의 충격을 보였다. CDP에 응답하지 않은 기업들에 대해서는 유의적이고 체계적인 움직임을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므로, 탄소정보공개는 최소한 단기적으로는 기업에게 비용부담을 주는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두 번째로, 탄소리스크관리활동이 음의 CDP공개효과를 상쇄시키는지를 분석했다. 온실가스다배출산업군에서, 탄소리스크를 잘 관리하는 것 CDP공개가 주가에 미치는 음의 효과를 상쇄 시켰다. 탄소리스크관리를 잘하는 기업은 탄소리스크관리를 덜 하는 기업에 비해 더 적은 음의 주가반응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다음의 세가지 사항으로 요약할 수 있다. 첫 번째, 단기적으로 CDP공개는 비용부담을 가진다. 두 번째로, 투자자들은 탄소리스크활동을 많이 하는 온실가스다배출기업이 미래환경 규제에 잘 대비하고 있다고 본다. 마지막으로, 투자자들은 에너지를 많이 배출하지않은 기업들의 CDP공개를 비용부담으로 본다.

키워드1 Carbon Disclosure Projects, voluntary disclosure, carbon risk management

키워드2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 자발적공시, 탄소리스크경영'
 첨부파일
03_13-009-동아.pdf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