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게재논문 원문서비스

[제28권 1호] 벤처기업의 기업공개과정에서 최고경영진의 인적자본 및 제3자의 사회적 인정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173
'논문제목1 벤처기업의 기업공개과정에서 최고경영진의 인적자본 및 제3자의 사회적 인정의 신호효과

논문제목2 The Signaling Effects of TMTs' Human Capitals and Third Parties' Endorsements on the IPO of Ventures

주저자/소속 최영근/상명대학교

학술지명 경영교육연구 발행기관명 한국경영교육학회

권(호) 28(1) 발행년월 2013년 2월

시작/끝 페이지 379/399 총페이지 14

언어 한국어

초록1 본 연구는 한국 코스닥 시장에 상장된 249개를 대상으로 그들의 기업공개 과정에서 최고경영진의 인적 자본의 특성 및 제3자의 사회적 인정이 기업 가치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 벤처기업의 최고경영진 내 학력 수준이 높거나 또는 아웃풋 기능 배경을 갖춘 경영자가 많을수록 그리고 벤처캐피탈이 투자한 벤처기업일수록, 기업공개 과정에서 높은 기업 가치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제3자의 사회적 인정으로 간주한 한국 정부의 벤처 인증은 벤처기업의 기업공개 과정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록2 Using a sample of 249 IPOs in the Korea, this paper examines interlinks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capital of executives, the social endorsement by the venture capitals or governments and the IPO performance measured in terms of the market capitalization of IPO firms. Our results demonstrated that educational level, output function background and venture capitals' investment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market capitalization at IPO. But venture certification by Korean government which this paper regards as the endorsement by third party have no significant relationship.
키워드1 최고경영진, 인적 자본, 제3자의 사회적 인정, 기업공개 성과

키워드2 upper echelon, human capital, third parties' endorsement, IPO performance'
 첨부파일
17_13-014.pdf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