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게재논문 원문서비스

[제27권 4호] 신용평가와 이익조정이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정확성에 미치는 영향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176
'논문제목1 신용평가와 이익조정이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정확성에 미치는 영향

논문제목2 The Effects of Credit Ratings and Earnings Management on Analyst Forecast Accuracy

주저자/소속 박범진/순천향대학교, 공동저자/소속

학술지명 경영교육연구 발행기관명 한국경영교육학회

권(호) 27(4) 발행년월 2012년 08월

시작/끝 페이지 161/184 총페이지 24

언어 한국어

초록1 외환위기를 겪은 이후, 우리나라는 기업의 효율적 감시를 위한 많은 경제변화들이 이어졌다. 그 중에서도 회계정보의 신뢰성 제고와 합리적인 신용평가가 대두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의 중재자인 재무분석가가 이익을 예측함에 있어서 경영자의 이익조정과 신용평가로부터 각각 영향을 받는지를 검증하여 두 결정요인들이 독립적인설명력을 갖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신용평가가 안 좋을수록 이익조정의 유인이 크기 때문에 이익조정이 이익예측정확성에 미치는 영향이 신용평가에 따라 달라지는지도 검증하였다. 연구기간은 2003년부터 2010년으로 이익예측치와 KIS 신용평점의 수집이 가능한 유가증권상장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익조정의 대용치(proxy)인 재량적 발생액과 KIS 신용평점은 높을수록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정확성이 떨어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익조정의 증가가 회계정보의 신뢰성을 떨어뜨리며 신용평가가 상대적으로 하락하면 미래의 예측불확실성이 높아져 이익예측정확성도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재량적 발생액이 이익예측정확성에 미치는 영향은 KIS 신용평점에 따라 달라지지 않았다. 단순히 KIS 신용평점을 투기와 투자등급으로 구분한 경우에는 이익예측정확성에 영향을 주었으나 재량적 발생액과 KIS 신용평점 간의 상호작용변수는 이익예측정확성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했다. 이는 경영자의 이익조정이 신용평가와 관계없이 이익예측정확성을 떨어뜨리는 것이다. 따라서 재량적 발생액과 신용평가는 독립적으로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정확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의 유익한 결과에도 불구하고 다음과 같은 한계점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재량적 발생액과 KIS 신용평점 간의 시차적 인과관계가 명확하지 않아서 동일시점의 것을 이용하였다. 재무분석가 입장에서는 두 결정요인 모두 과거의 정보일 뿐이라는 전제하에 모형을 설계하였다. 추후 재무분석가의 의사결정에 이익조정과 신용평가의 역할이 좀 더 명확하게 밝혀지길 기대한다.

초록2 This paper investigates whether credit ratings and earnings management have influences respectively on analyst decision making for forecasting future earnings and interactions between credit ratings and earnings management affects that also. KIS credit score measured by Korea Information Service(KIS) is used as the proxy of credit ratings and discretionary accruals estimated by adjusted Jones Model(1991) means that of earnings management. The empirical results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arnings forecast accuracy of companies which have higher credit score and discretionary accruals tend to lower than other companies. According to the previous researches, the lower credit ratings, the more future uncertainty and the more discretionary accruals, the lower reliability of accounting information. Accordingly, analyst can not forecast exactly future earning of companies under the above situation and I find that the above two determinants have the independent power of explanation on earnings forecast accuracy. Second, there is no statistical meaningful results in model to verify whether interactions between credit ratings and earnings management affects earnings forecast accuracy. It means that two variables with the same directional relation to earnings forecast accuracy have the different power of explanation on that. Additionally, I also can find the meaningful results in relation between the volatility of credit ratings and earnings forecast accuracy. In the future, I hope that many studies will clearly find not onl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redit ratings and earnings management but also the one between the volatility of credit ratings and earnings forecast accuracy.

키워드1 이익예측정확성, KIS 신용평점, 재량적 발생액, 이익조정

키워드2 Earnings Forecast Accuracy, KIS Credit Score, Discretionary Accruals, Earnings Management'
 첨부파일
12-051.pdf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