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게재논문 원문서비스

[제26권4호] 직무불안정성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211
'
연구분야 사회과학 > 경영학
논문제목1 직무불안정성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논문제목2 A Study on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Insecurity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by Self Efficacy
주저자/소속 이재익/원광대학교
공동저자/소속 정수진/원광대학교
학술지명 경영교육연구 발행기관명 한국경영교육학회
권(호) 26(4) 발행년월 2011년 08월
시작/끝 페이지 141/163 총페이지 23
언어 한국어
초록1 본 연구는 직무불안정성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및 이들 사이에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개인특성에 대한 조절변수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직무불안정성은 개인적, 직무적 및 조직적 요인을, 조직성과는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을, 조절변수로는 자기효능감을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직무불안정성은 성별을 제외한 모든 변수가 통계적인 유의성이 인정되고 있다. 또한 직무불안정성 요인 중 조직적 요인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원인으로 분석되었으며, 조직적 요인, 직무상황 및 성취감 저하의 순으로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이 조절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근로자의 직무불안정성과 관련된 기업의 정책수립 과정에 유용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본다.
초록2 This research aimed to examine the impact of job insecurity on organization performance and to measure the effect of mediator variable on personal characteristics which affect each members of the organization. In that regards, personal, positional and organizational factors, and organizational committment and job satisfaction were considered to measure job insecurity and organization performance respectively. Self-efficacy has been designated as a mediator variable.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all variables besides gender have revealed to have statistical significance on job insecurity. Furthermore, the results indicated that organizational factor has a direct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tment. In analyzing its relationship with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tment, self-efficacy has revealed to have a highest controlling effect on organizational factor, followed by job status and lowering sense of accomplishment.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 of this investigation will function as an useful foundation work for companies in setting its policies.
키워드1 직무불안정, 조직성과, 자기효능감
키워드2 Job Insecurity, Organizational Performance, Self Efficacy
'
 첨부파일
11-071.pdf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