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게재논문 원문서비스

[제26권4호] ESG 정보의 가치관련성에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261
'
연구분야 사회과학 > 경영학
논문제목1 ESG 정보의 가치관련성에 관한 실증연구
논문제목2 An Empirical Study on the Value Relevance of ESG Information
주저자/소속 나영/중앙대학교
공동저자/소속 임욱빈/중앙대학교
학술지명 경영교육연구 발행기관명 한국경영교육학회
권(호) 26(4) 발행년월 2011년 08월
시작/끝 페이지 439/467 총페이지 29
언어 한국어
초록1 본 연구는 우리나라 기업들이 그 동안 자발적으로 발간하여 공시한 지속가능경영보고서 중에서 ESG 요소를 모두 포함한 보고서를 ESG 정보로 보고 이를 제시한 기업의 ESG 정보의 공시효과 및 가치관련성을 분석함으로써 ESG 정보의 유용성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ESG 정보 공시일 주변에서의 주가수익률 및 거래량으로 정보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ESG 관련 정보 공시기업을 연구표본으로 하고 그 기업과 동일한 산업에 속하는 기업들 중에서 자산규모가 유사한 기업을 통제표본으로 선정하여 ESG 정보의 가치관련성을 검증한다. ESG 관련 정보의 공시일 주변 초과수익률 및 누적초과수익률을 알기 위하여 시장모형을 이용한 t-test를 통해 ESG 정보 공시의 정보효과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분석하였다. 동시에 이러한 정보효과가 주식거래량의 유의한 변화로 나타나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시장모형을 활용한 비정상주식거래량 및 누적비정상주식거래량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분석하였다. ESG 관련 정보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은 Tobins Q를 이용하였다. 한국기업지배구조원에서 2011년 하반기부터 평가 예정인 ESG 정보의 전달효과를 사전적으로 실증 분석한 결과 첫째, ESG 요소 모두를 포함한 정보 공시 전후의 주식가격의 변화는 표본 관측치들의 초과수익률(AR)의 경우 ESG 요소를 포함한 정보 공시일을 기준으로 (-)8일과 (+)4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고, 누적초과수익률(CAR)의 경우 ESG 요소를 모두 포함한 정보 공시 바로 다음날(t+1)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t+3일째부터 t+10일까지 지속적으로 유의한 음(-)의 결과를 보였다. 둘째, ESG 요소 모두를 포함한 정보 공시 전후의 주식거래량의 변화는 비정상주식거래량(MKTMDL)의 경우 ESG 정보 공시 10일 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값이 나타났으며, ESG 공시일을 기준으로 (-)10일부터 (-)2일, 공시일 및 (+)5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ESG 정보와 가치관련성을 조사한 결과 ESG 정보 공시 유무는 기업가치를 나타내는 토빈의 Q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변수들을 통제한 후에도 10% 수준 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ESG 정보를 공시한 기업이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기업가치를 더 높게 평가받고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본시장의 투자자들은 ESG 정보에 대하여 단기적으로는 평가절하하여 주가에 반영하고 있으며 투자의사결정시 주식의 매수거래보다는 매도거래에 대한 의사결정을 내리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기업의 ESG 관련 활동에 대하여 투자자들은 투자의사결정에 기업의 ESG 관련 활동에 대한 정보를 반영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ESG 정보가 투자자의 기업가치 평가시에 반영될 수 있기 때문에 정부 차원에서는 기업들의 ESG 정보 공시 의무화 등 관련 제도 구축이 필요하며 기업차원에서는 ESG 관련 활동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면서 적극적으로 ESG 정보를 공시하여야 할 것이다.
초록2 Among sustainability management reports that Korean firms voluntarily publicized. This study has determined the reports containing each ESG factor as ESG information and is to provide usefulness of ESG information by analyzing announcement effects and value relevance of ESG inform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s to verify information contents in terms of stock price and trading volume of around ESG information announcement day. In addition, this study has defined information announcement firms related with ESG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similar sized firms in the same industry as a control group and also verified the value relevance of ESG information. In order to determine abnormal return and cumulative abnormal return around the announcement day of ESG information, the information content of ESG announcement has been analyzed through the market model. Simultaneously, statistical significance of abnormal trading volume was applied to verify whether this information effect is significantly related to changes of stock trading volume. Tobins Q has also been used to examine the value relevance of ESG information on the firm value. The results of this empirical study are as follows: (1) for the abnormal return (AR) of the sample, changes of stock prices around the announcement day including all of ESG facto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8day and (+)4day from the announcement day including each ESG factor; for the cumulative abnormal return (CAR), the changes on the day after the announcement day (t+1) including ESG factors was significant; the changes on the days from t+3 to t+10 were consistently negative; (2) for the abnormal stock trading volume, changes of trading volume around the announcement day including all of ESG factors were statistically positive on 10days before the ESG announcement day as well as were significantly positive on the day from -10day to -2day, the announcement day, and +5day; (3) as a result of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SG information and firm value, the existence of ESG information announcemen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10% level after controlling other factors that might affect on Tobins Q explaining firm values. This result shows that firms reporting ESG information were evaluated better on the firm value than others not reporting ESG information. The implication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1) investors in capital market under-evaluate ESG information and consequently it affects on stock prices in the short-term and they make a decision for sale transaction not for buying transaction on investment. This results also show that investors consider on the activities related to the firms ESG information when making their decisions; (2) ESG information may be considered when investors evaluate firm values; thus, on the governments perspective, infrastructures such as requirements of ESG information announcement need to be prepared and from the firms perspective, ESG information positively needs to be disclosed with activities for ESG information.
키워드1 ESG, 지속가능경영, 가치관련성, 토빈Q
키워드2 ESG, sustainability management, value relevance, Tobins Q
'
 첨부파일
11-091.pdf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