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게재논문 원문서비스

[제26권3호] 핵심자기평가가 창의적 자기효능감과 직무몰입에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203
'
연구분야 사회과학 > 경영학
논문제목1 핵심자기평가가 창의적 자기효능감과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논문제목2 A Study on the Effects of Core Self-Evaluations on Creative Self-Efficacy and Job Involvement
주저자/소속 양필석/경북대학교 경영학부
공동저자/소속 최석봉/울산대학교 경영학부
학술지명 경영교육연구 발행기관명 한국경영교육학회
권(호) 26(3) 발행년월 2011년 06월
시작/끝 페이지 25/47 총페이지 23
언어 한국어
초록1 본 연구는 핵심자기평가가 창의적 자기효능감과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창의적 자기효능감의 매개작용을 연구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U광역시에 있는 은행, 증권, 보험회사 직원 304명의 응답을 표본으로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핵심자기평가는 창의적 자기효능감과 직무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창의적 자기효능감 역시 직무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창의적 자기효능감은 핵심자기평가와 직무몰입 간의 관계에 대하여 부분매개 작용을 하였다. 본 연구는 이론적으로 핵심자기평가가 창의적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직무몰입에 영향을 주는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였다. 또한 실무적으로 직무몰입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특성에 맞는 직무설계를 통해 창의적 인재 발굴 및 양성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초록2 Recognizing the significance of job involvement for competitive advantage of firms and the shortage of core self-evaluations related studies, this study focuses on the relationships among core self-evaluations, creative self-efficacy, and job involvement based on survey data from 304 employees working in 16 bank branches and security company branches in Ulsan Metropolitan City. A mediation role of creative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re self-evaluations and job involvement is also investigated on the basis of theoretical linkages from previous relevant studi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career orient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ore self-evaluations was positively related to job involvement and creative self-efficacy. Second, we found that creative self-efficacy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job involvement. Finally, it is found that creative self-efficac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of core self-evaluations and job involvement. This study make a theoretical advance in job involvement research by linking into studies of core self-evaluation and creative self-efficacy. The findings suggest that managers need to develop creativity of human resource through individual specific job desig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with some suggestion for future research.
키워드1 핵심자기평가, 창의적 자기효능감, 직무몰입, 매개작용
키워드2 core self-evaluations, creative self- efficacy, job involvement, mediation.
'
 첨부파일
2(final)(0).pdf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