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분야 |
사회과학 > 경영학 |
|
논문제목1 |
e-learning 회계교육에 의한 학습이해도 측정모형 연구 |
|
논문제목2 |
A Measurement Model of Understanding Learning Using e-learning in Accounting Education |
|
주저자/소속 |
임종옥/원광대학교 |
공동저자/소속 |
|
|
학술지명 |
경영교육연구 |
발행기관명 |
한국경영교육학회 |
|
권(호) |
26(2) |
발행년월 |
2011년 04월 |
|
시작/끝 페이지 |
381/400 |
총페이지 |
20 |
|
언어 |
한국어 |
|
초록1 |
본 연구는 회계강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효율적 e-learning 회계교육 모형을 설계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e-learning 모형에서 학습자의 설명문 클릭 추적(학습이력추적)을 통해 학습자의 이해도를 측정하도록 설계하고, 교육자가 학습자의 이해부족한 영역을 중점 반복 강의하여 회계교육의 학습효과를 극대화 하는데 있다. e-learning 회계교육 모형은 학습자, 교육자, 관리자로 구분하여 각각의 역할에 충실하도록 모형을 설계하였으며, 학사행정시스템, 교내 전산시스템, 교육개발센터(e-class), 및 평생교육원 등 관련 기관을 유기적으로 연계함으로서 On/Off- line 교육을 통해 회계교육을 사회교육으로 발전시키는데 공헌하리라 본다. |
|
초록2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ign an effective accounting lecture model to maximize the effect of accounting lecture.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of this paper, I designed to enable it to trace the paths of a statements for a learner of accounting field using the e-learning model in order to measure the understanding learning possible. And through this tracing results the educator is able to recognize a misunderstanding part of the learner, and begins to by reviewing the last lesson to maximize the learning effect for accounting education. This model designed by classifying three parts, such as the learner, the educator, and the administrator. I tried to make close relationship the administrative system, the University Computer Center, and Center for Continuing Eduction in line with this e-learning model to motivate and promote them an opportunity of learning for accounting. |
|
키워드1 |
회계교육, e-leaning, 원격강의, 학습이해도 |
|
키워드2 |
Accounting Lecture, E-learning, Tele-teaching System, Understanding Learni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