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안전분위기의 구성요소 및 안전사고 수준과의 관계
●저자 : 안관영(상지대)
●개요 : 본 연구는 안전분위기와 안전사고 수준간의 관계와 이러한 관계가 안전효능감 수준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 가에 대한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강원 영서지역에 위치한 제조업과 건설업 종업원을 대상으로 배부 및 회수된 382부의 설문자료를 바탕으로 분석이 이루어졌다.
요인분석결과 안전분위기의 구성요소로는 회사의 예방활동, 경영층몰입, 변혁적 리더십, 안전관련 교육훈련, 안전규정, 커뮤니케이션, 업무관련 신체적 부담, 심리적 부담이 추출되었으며, 이 중 예방활동, 경영층몰입, 안전교육, 커뮤니케이션은 안전사고수준과 부의 관계가 있으며, 육체적 부담은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효과에 대한 분석은 Cohen & Cohen(1983)의 위계적 회귀분석기법을 적용하였으며, 분석결과 경영층몰입, 변혁적 리더십, 안전교육에 대한 인지도가 높을수록 안전사고 수준은 낮아지는데 이러한 경향은 안전효능감이 높을수록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