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게재논문 원문서비스

[제40집] 주가 전환에 대한 기대심리현상과 투자 성과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424
'● 제목: 주가 전환에 대한 기대심리현상과 투자 성과

● 저자: 정 성 훈*, 지 성 구**
* 서강대학교 경영학과 대우교수(제1저자)
** 경남대학교 경영학부 조교수(교신저자)

● 접수일자: 2005-07-20

● 게재확정일자: 2005-10-14

● 개 요: 본 연구의 목적은 주가 전환의 기대심리현상과 이로 인한 투자 성과가 한국주식시장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 밝히는 것이다. 즉, 한국증권시장에서 주가전환에 대한 기대심리현상이 처분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투자 성과를 연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실증 분석 기간은 1999년 3월부터 2003년 2월까지 4년간으로 설정하였으며, 분석 자료는 증권사를 통해 수집하였고, 거래된 계좌(최소한 일년에 한 번 이상 거래가 있었던 계좌)중 1,400명의 고객 사이버계좌를 무작위로 표본 추출하였다. 연구모형으로는 Odean(1998)의 재매수한 손실의 비율(PLPA)모형, 재매수한 이익의 비율(PGPA)모형 그리고 최대 잠재이익률 및 최대 잠재손실률의 비교를 통해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빈도기준이나 금액기준에 상관없이 PLPA가 PGPA보다 크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개인투자자들이 손실에 대해서 위험추구적인 매매행태를 보이는 것을 의미하고, 이익에 대해서는 위험회피적인 매매행태를 보이는 것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 또한, 최대 잠재이익률이 최대 잠재손실률보다 크게 나타났다. 즉, 투자자들이 이익실현을 늦췄다면 많은 이익을 실현할 수 있었고, 손실을 빨리 실현했다면 적은 손실을 실현할 수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Odean의 주장과는 달리, 개인투자자들이 주식가격 전환의 기대감에 따른 기대심리현상이 처분효과의 원인임을 검증하였다. 즉, Odean은 세금 감면 효과 때문에 처분효과가 발생했다고 주장한 반면, 본 논문은 기대심리현상으로 처분효과가 나타남을 검증하였다.

● 주제어 : 주가 전환, 기대심리현상, 투자성과'
 첨부파일
주가_전환에_대한_기대심리현상과_투자_성과(정성훈(Jeong_Seong-Hoon),_지성구(Ji_Seong-Goo))_686344.pdf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