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제목 기업의 학습복잡계에 관한 연구
초록
본 연구에서는 복잡계에 근거한 새로운 학습조직의 개념적 모형을 도출하기 위해 복잡계에 대한 개념적 이해와 특징을 고찰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학습조직에 적용을 시도하였다. 복잡계를 적용한 학습조직을 학습복잡계라 부르고 기업조직을 학습복잡계로 인식하고 개념적 구성요소들을 고찰하였다. 새로운 학습조직의 개념적 모형으로써 학습복잡계와 그 구성개념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학습복잡계의 구축과 운영을 위한 전략을 도출하기 위하여 조직학습과정과 크게 4가지의 복잡계의 특성을 관련시켰다. 첫째, 학습의 초기조건의 민감성과 관련된 학습섭동과 학습요동의 개인적 차원의 직관적인 요인에 의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학습의 초기민간성은 경영자를 포함한 구성원들의 외부 및 내부적인 환경변화에 대한 직관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이것은 변혁적 리더십의 차원에서 접근할 필요성이 있을 것이다. 둘째, 학습복잡계의 혼돈의 가장자리에서 일어나는 자기조직적 학습, 공진화 학습, 창발학습은 팀 또는 조직차원의 개방성, 상호작용, 공유, 실패관용, 협동, 창의성의 확보 및 유지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효과적인 학습복잡계의 구축과 운영에 있어서 팀 혹은 조직차원의 학습에 대한 공유가치를 형성하는 것, 즉 학습친화적 조직문화 형성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셋째, 프랙탈 학습은 학습이 일회적이고 단기적인 사건으로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인 장기적인 과정으로 이해할 필요성을 강조한다. 더불어 학습에 대한 성공모델의 개발과 전파를 통해 개인, 팀, 조직차원의 학습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프랙탈 학습의 전략적 도구로써 자율적인 학습소그룹활동인 CoP를 적절하게 활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넷째, 학습증폭화는 외부지식의 흡수와 이차원적 학습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전략적인 측면에서 외부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학습에 대한 기본적 사고의 변화가 일어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외부와 연계성을 높이기 위한 네트워크를 구축할 필요성이 있다.
주제어 : 학습조직, 조직학습, 복잡성, 복잡계, 전략, 탐색적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