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게재논문 원문서비스

[제29권 2호]Analyzing the Differences between Tradit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172
논문제목1 Analyzing the Differences between Traditional Organization Development Techniques and Appreciative Inquiry(AI)

논문제목2 전통적인 조직개발 기법과 긍정적 탐구기법과의 차이점 분석

주저자/소속 정상철/인천대학교 (KRI) 공동저자/소속

학술지명 경영교육연구 발행기관명 한국경영교육학회

권(호) 29(2) 발행년월 2014년 04월

시작/끝 페이지 531/550 총페이지 20

언어 영어

초록 1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take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ffects of AI technique. In particular, I intended to find out the differences between traditional organizational development techniques and AI. Traditional OD approaches to change focus on identifying and solving core organizational problems and deficits. These traditional OD techniques use a primarily negative approach.
On the other hand, AI is a decision to choose affirmative, valuing, and generative ways to understand the system and to build on the strengths and vitality of the members rather than on a deficient analysis of the problematic aspects of an organization.
AI, developed by David Cooperrider, suggests new organizational learning methodology for sustainable organizational change with collaborative, constructive, and participatory approach of positive inquiry. That is, AI is a powerful organizational change methodology through self-fulfilling learning and positive dialogue of members regarding their future value, not deficits and problems.
In today's challenging environment of increased globalization, rapidly changing technologies, economic pressures, and expectations in the contemporary work force, AI is an essential tool.
Findings of this paper are limited by a theoretical study in finding out the differences between traditional OD techniques and AI. Therefore quantitative methods should be employed to test the generalization of the findings with large samples.

초록 2 본 논문의 목적은 긍정적 탐구기법의 효과를 탐색적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특히 전통적인 조직개발 기법과 긍정적 탐구기법과의 차이점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전통적인 조직개발 기법은 주로 조직의 문제점을 찾아내서 그에 대한 해결책을 추구하는 기법이다. 이러한 전통적인 조직개발 기법은 조직구성원에 대한 부정적인 접근 방법에서 출발했다. 반면에 조직개발 기법은 긍정적인 가치를 선택하고, 창조적인 면을 추구하며 조직구성원의 강점과 활력을 추구한다.
조직의 리더에게 최적의 조직변화를 가져오기 위해서는 긍정적 탐구기법을 사용함으로써 조직구성원에게 미치는 효과를 우선 이해해야만 전통적 조직개발기법과의 차이를 느끼게 될 것이다. 긍정적 탐구기법은 1980년대 후반에 연구되기 시작했다. 이 기법은 조직을 이해하기 위해 일반적인 방법과 긍정적 가치 있는 조직을 선택하기 위한 것이며, 조직의 문제 관점에서 잘못된 면을 분석하기 보다는 오히려 조직의 장점과 과거의 조직이 경험했었던 최고의 순간을 기억하고 이를 현재의 조직구성원에게 주입시켜 조직의 성과를 개선하는데 적용시켜 보는 것이다. 데이비드 쿠퍼라이더에 의해 개발된 긍정적 탐구기법은 지속적인 조직변화를 위한 새로운 조직의 학습방법이며, 긍정적 탐구로 건설적인 참가적 접근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즉 긍정적 탐구는 자기실현적 학습과 긍정적 대화를 통해 조직의 단기적인 문제해결을 찾는 것이 아니라, 미래의 가치에 대한 강력한 조직변화를 추구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조직의 유효성을 높이고 조직의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조직구성원들이 조직 내에 함께 작업하는 리더를 위한 일종의 조직변화를 탐구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전통적인 조직개발기법과 긍정적 탐구기법의 차이점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본 논문의 한계점은 전통적인 조직계발과 긍정적 탐구 기법과의 차이점을 발견하기 위한 이론적인 연구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 대한 실증적인 입증을 위해서는 많은 표본을 가진 통계학적인 방법론을 활용해서 두 이론의 차이점을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키워드1 긍정적 탐구, 조직의 변화, 전통적인 조직개발기법

키워드2 Appreciative inquiry, Organizational change, Traditional OD techniques
 첨부파일
Analyzing_the_Differences_between_Traditional_Organization_Development_Techniques_and_Appreciative_I.pdf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