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제목 1 사이버교육 수강생들의 자기주도학습의 효과에 관한 연구
논문제목 2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by Cyber Education Students
주저자/소속 이종호/국립공주대학교 공동저자/소속 윤지연/충남교통연수원교 교신저자/소속 정병무/건국대학교
학술지명 경영교육연구 발행기관명 한국경영교육학회
권(호) 29(1) 발행년월 2014년 2월
시작/ 끝 페이지 491/507 총페이지 17
언어 한국어
초록1 본 논문은 사이버강의를 수강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자기주도학습에서 중요한 동기요인이 몰입을 매개로 하여 학습효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였다. 기존의 자기주도학습에 관한 연구는 사이버교육이 아닌 이른 바 전통적인 방식에 의한 교실교육을 바탕으로 실시된 것이 대부분이었다. 또한 사이버 강의를 수강하는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한 자기주도적 학습의 효과에 관한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시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연구의 결과, 동기요인 중에서 내재적 동기가 외재적 동기보다 몰입 및 학습효과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몰입이 학습효과에 매개변수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사이버 강의가 늘어난다고 해서 학습효과가 높아지는 것이 아니라 동기요인을 강화하고 몰입을 촉진할수록 학습효과가 더욱 높아짐이 증명되었다.
초록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by Cyber-education through mediating variable, flow. Most previous studies focused on, mainly, the merits and demerits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with not cyber education but traditional education(school education). Therefore this point makes this study more valuable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At the results of this study, internal factors make more influences on flow and learning effects than eternal ones do. Also flow, as mediating variable, makes influence on learning effect.
Therefore it is proved that to strengthen motivation factors and to promote flow make learning effect higher because even though the numbers of cyber education increase, the learning effect doesn't become high.
키워드1 자기주도적학습, 동기요인, 사이버교육, 몰입, 학습효과
키워드2 self-direction, flow, motivation, cyber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