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제목 1 한국 경영대학의 책임경영교육원칙의 도입과 실천에 관한 연구
논문제목 2 A Study on Adoption and Implementation of UN Principles for Responsible Management Education Among Korean Business Schools
주저자/소속 박용승/경희대학교 교신저자/소속 손윤근/경희대학교
학술지명 경영교육연구 발행기관명 한국경영교육학회
권(호) 28(6) 발행년월 2013년 12월
시작/ 끝 페이지 307/333 총페이지 27
언어 한국어
초록1 오늘날의 기업이 지속 가능한 경쟁력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이해관계자와 선순환을 이루는 사회적 책임경영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실천해야 하듯이, 이 시대의 경영대학은 책임경영교육의 새로운 사명을 완수해야 할 중대한 변화의 시점에 있다. 본 논문은 2007년 제정된 유엔 책임경영교육원칙(UN PRME: Principles for Responsible Management Education)을 중심으로, 글로벌 시대 경영대학의 새로운 미션과 이에 따라 등장한 책임경영교육 패러다임의 의미를 살펴보고, 국내 경영대학이 책임경영교육을 효과적으로 도입하고 실천하기 위한 세 가지 방안을 제안한다. 첫째, 경영대학의 미션과 핵심가치에 책임경영철학이 반영되고 이에 대한 구성원 모두의 공감대가 형성될 수 있는 조직문화를 구축하여야 한다. 둘째, 경영대학의 새로운 미션에 부합하는 일관성 있는 대학의 정책, 교과과정, 교수법 연구 등 세부적인 전략이 이를 뒷받침해 나가야 한다. 셋째, 책임경영교육의 비전을 구현해 나가는 학장의 리더십을 바탕으로 대학차원의 지속적인 행정적, 재정적 지원과 함께 교원들에 대한 동기부여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관리해 나가야 한다.
오늘날의 경영대학에게 PRME의 도입과 같은 경영학교육 패러다임의 변화관리는 큰 도전이며 동시에 이 시대 경영대학 교육인의 시대적 소명이기도 하다. 본 논문은 PRME와 ‘책임경영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과 공감을 이끌어내기 위하여 원론적인 수준에서 기본적이고 일반적인 도전과제를 제시하였다. 따라서 향후 우리나라의 대학들이 UN PRME에 참여하고 PRME를 도입하고자 할 경우, 각 대학들은 처한 상황에 따라 PRME의 실천보고서인 SIP(Sharing Information on Progress) 등을 통해 내외부적 정보와 경험을 공유하여 자신에게 적합한 실천방법을 설계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초록2 Today’s business schools are at the critical turning point where it requires to adopt a whole new paradigm just as much as today’s business needs to adopt and practice a new management paradigm which directs for mutual gains among the various stakeholders. This paper will generally introduce the UN Principles for Responsible Management Education and the effective ways that Korean business schools adopt and practice them. We propose several challenges to be solved for the change processes which include; 1) the new mission, core values, and culture of business schools which fully reflects responsible management education paradigm, 2)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policy, curriculum, and pedagogy consistent in the line of Responsible Management Education, and 3) the Dean’s leadership which manages the change process successfully with the guarantee of university wide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support.
It is not only grand challenges but also the noble vocation of today's business schools. This paper provides only the fundamentals of PRME initiatives, and further details of the ways of adopting and implementing PRME in each university's contexts remain as the challenges of each institution. More active communication such as providing SIP(Sharing Information on Progress) among the signatory universities will warrant such efforts.
키워드1 기업의 사회적 책임, 지속가능경영, 이해관계자 경영, 유엔 글로벌 컴팩트(UN Global Compact), 유엔 책임경영교육원칙(UN Principles for Responsible Management Education)
키워드2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Sustainable Management, Stakeholder Management Paradigm, UN Global Compact, UN Principles for Responsible Management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