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게재논문 원문서비스

[제28권 5호]신입사원의 대인관계능력이 직무수행도와 조직적응력에 미치는 영향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153
논문제목1 신입사원의 대인관계능력이 직무수행도와 조직적응력에 미치는 영향

논문제목2 The Effects of Relationship Abillity on Job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Adaptability of New Employees

주저자/소속 최찬기/명지전문대학교, 공동저자 박윤창/중국 청도농업대학교

학술지명 경영교육연구 발행기관명 한국경영교육학회

권(호) 28(5) 발행년월 2013년 10월

시작/끝 페이지 27/54 총페이지 28

언어 한국어

초록1 본 연구는 신입사원의 대인관계능력이 직무수행도와 조직적응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을 갖고 국내 기업에 종사하는 20~30대 남ㆍ여 신입사원 400명을 대상으로 2012년 11월 1일부터 30일까지 설문조사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대인관계능력이 과업수행에 미치는 영향은 의사소통 능력, 사회적 유능감, 직
장생활 적응력, 대인관계 친화력, 자기관리 능력이 과업수행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대인관계
능력이 맥락수행에 미치는 영향은 의사소통 능력, 사회적 유능감, 대인관계 친화력, 자기관리
능력이 맥락수행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대인관계능력이 적응수행에 미치는 영향은 사회적 유능감, 대인관계 친화력이 적응수행에 영향을 미쳤다. 넷째, 직무수행도가 조직적응력에 미치는 영향은 과업수행, 맥락수행, 적응수행이 조직적응력에 영향을 미쳤다. 이 같은 결과는 입사 초 제반경력이 부족한 신입사원에게 대인관계능력을 극대화시켜 줌으로서 업무수행능력을 향상시키고 조직내 조기 정착을 통해 업무효율을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초록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relationship abillity on job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adaptability of new employees.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conducted on 400 new employees in domestic companies through November 1 to 30, 2012.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relationship abillity on task performance showed that communication competence, social competence, job adaptability, relationship sociability and self-management competence had an effect on task performance. Second, the effect of relationship abillity on contextual performance showed that communication competence, social competence, relationship sociability and self-management competence had an effect on contextual performance. Third, the effect of relationship abillity on adaptive performance showed that social competence and relationship sociability had an effect on adaptive performance. Fourth, the effect of job performance on organizational adaptability showed that task performance, contextual performance and adaptive performance had an effect on organizational adaptability. This implies that domestic companies can improve new employees' job performance by educating them to acquire relationship abillity early in their career, and increase job efficiency through early settlement in organization.

키워드1 신입사원, 대인관계능력, 직무수행도, 조직적응력
키워드2 New Employees, Relationship Abillity, Job Performance, Organizational Adaptability
 첨부파일
02-13-085.pdf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