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제목2 내부감사인의 특성과 타인자본비용
주저자/소속 이호영/연세대학교,김진욱/럿거스대학교,이양미/연세대학교
학술지명 경영교육연구 발행기관명 한국경영교육학회
권(호) 28(4) 발행년월 2013년 8월
시작/끝 페이지 227/255 총페이지 29
언어 영어
초록1 Recent financial reporting scandals have prompted action by standard-setters to improve corporate governance. In the post-Sarbanes-Oxley era, the role of internal auditors in corporate governance is a subject of increasing public interest. Internal auditors serve as the first line of defense against information risk by monitoring managers’ decision-making. In this paper, we focus on the monitoring role of internal auditors and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auditor characteristics and the cost of debt. When an internal auditor is an effective monitor of the financial accounting process, creditors bear lower information risk
and, therefore, impose lower costs to the firm. We posit that effective monitoring requires two components: expertise and activity. We find that the appointment of a new internal auditor for the firm is positively related to the cost of debt. This evidence is consistent with the view that, compared with internal auditors who have worked continuously at the firm for multiple years, newly appointed internal auditors have not had chances to develop firmand/or industry-specific expertise due to time constraints or lack of experience; this lack, in turn, affects the debt pricing. In an additional test, we find evidence that the decrease in the cost of debt is greater when a legal expert, relative to a non-legal expert, is actively involved in board of director meetings than when the person is not actively involved in such meetings.
초록2 1990년대 말과 2000년대 초에 발생한 일련의 심각한 회계부정 사건들은 규제기관들로 하여금 기업지배구조와 내부통제제도의 개혁을 촉진시켰다. 미국에서 상장기업의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한 사베인스-옥슬리법(Sarbanes-Oxley Act)이 발효된 2002년 이후, 지배구조에서의 내부감사의 역할에 대한 일반투자자의 관심이 크게 증가하였다. 내부감사는 경영자의 의사결정 및 결과 보고의 신뢰성과 관련된 제1선의 방어수단으로써 중요한 기능을 담당한다. 본 연구에서는 내부감사의 모니터링역할에 주목하여, 상법상의 내부감사인의 특성이 타인자본비용과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검증한다. 내부감사가 재무보고과정을 효과적으로 감시하고 있다면, 채권자들은 낮은 정보위험을 경험하게 될 것이며 이로 인해 기업의 타인자본비용은 낮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재무보고과정에서의 내부감사의 효과적인 통제를 위해서는 전문성과 활동성의 두 가지 요소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의 결과, 재무, 법률 및 경험에 따른 전문성의 특성과 관련되어서는, 내부감사로서의 임명 첫해의 경우 타인자본비용과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발견했다. 이러한 결과는 수임 첫해의 경우 통제환경 및 업무파악에 시간이 필요하고 경험이 부족하며, 이에 따른 전문성의 부족으로 정보위험을 낮추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기에는 한계가 있음을 반영한 것으로 추정된다. 내부감사의 상근여부와 이사회 참석률로 대표되는 활동성은 타인자본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활발한 활동의 동인이 효과적인 통제활동의 일환으로 이루어 진 것일 수도 있지만, 기업 내부의 문제로 인한 불가피한 활동이 있었기 때문일 수 도 있어 이 두 가지 이유가 상충된 결과 유의한 결과를 발견할 수 없었을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공개되어 이용 가능한 자료의 한계로 인해 명확한 결론을 내리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는 상법상의 내부감사의 역할을 공시된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해 보았다는 데에 의의가 있으며, 내부감사의 모니터링 역할에 중요한 기능을 하는 특성들의 타인자본비용과의 관계를 검증함으로 미래의 관련연구에 기초를 제공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키워드1 Internal Auditor, Expertise, Activity, Cost of Debt
키워드2 내부감사인, 전문성, 활동성, 타인자본비용
키워드2 내부감사인, 전문성, 활동성, 타인자본비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