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게재논문 원문서비스

[제28권 4호] 학습조직 구축과 조직유효성과의 관계에 있어 지식공유의 조절효과 분석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199
논문제목1 학습조직 구축과 조직유효성과의 관계에 있어 지식공유의 조절효과 분석

논문제목2 The Moderating Effect of Knowledge Shar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Organiza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주저자/소속 신형재/숭실대학교, 권용만/남서울대학교, 김진수/남서울대학교, 신태호/경희대학교
학술지명 경영교육연구 발행기관명 한국경영교육학회

권(호) 28(4) 발행년월 2013년 8월

시작/끝 페이지 457/479 총페이지 23

언어 한국어

초록1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학습조직구축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과 지식공유활동의 조절효
과에 대해 밝힘으로써 조직구성원 개인과 조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인적자원개발에 도움
을 주는 동시에 연구에서 도출된 학습조직구축요인과 조직유효성의 관계에 대한 분석 결과를
통해 기업내 성공적인 학습조직 구축을 위한 다양한 전략의 수립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
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학습조직구축은 조직유효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인가? 둘째, 지식공유는 학습조직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절효과가 있는가를 규명하기 위해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병행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Senge가 제시한 학습조직구축 다섯 가지 요인, 즉 개인적 숙련, 사고모
형, 비전공유, 팀 학습, 시스템적 사고 중 비전공유, 팀 학습 및 시스템사고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식공유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학습조직구축요인 중 비전공유, 팀 학습 및 시스템적 사고 모두 조직몰입에 있어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직무만족의 경우 조절효과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학습조직 구축 및 활동 시 구성원들의 조직몰입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조직 구축 시 공유비전, 팀 학습 및 시스템적 사고 요인을 강화하여야 하고, 지식공유 활동 요인인 업무관련 지식공유 활동 및 실행공동체 상호 작용성을 증대시켜야 한다.

초록2 This research is mainly focused on whether knowledge sharing has the moderating effects between learning organization and organization effectiveness throughout empirical study on a korean company.
The result of research shows that shared vision, team learning, and systems thinking which are three factors of learning organization by Senge, mainly a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and knowledge sharing also has strong causal relationship with these two factors.
The research also illuminates that knowledge sharing played a moderating role to
enhancing organization commitment to the member of the company.
Considering this result, the company should strengthen knowledge sharing activitie to enhance the effect of organization commitment throughout learning organization.

키워드1 학습조직, 지식공유, 직무만족, 조직몰입

키워드2 Learning Organization, Knowledge Sharing,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
Commitment
 첨부파일
19-13-105.pdf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