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제목1 인적특성변수가 투자성과와 교육효과에 미치는 영향
논문제목2 The Influence of Personal Characteristics on the Investment and Education
주저자/소속 이의경/대진대학교
학술지명 경영교육연구 발행기관명 한국경영교육학회
시작/끝 페이지 25/46 총페이지 22
언어 한국어
초록1 행동재무학이 등장하면서 투자자의 심리와 특성이 주가행태에 반영되는 메카니즘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에서 ‘증권투자의 이해’라는 교양강좌를 수강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모의투자를 시행하여 5가지 특성(성별, 출생순위, 학년, 혈액형, 전공)이 투자성과와 교육효과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투자성과의 측면에서 보면 남자가 여자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성과를 보였고 인문사회 및 이공계 학생들이 예체능계 학생들에 비해서 성과가 높았으며 AB형과 A형이 B형에 비해서 성과가 높았다. 교육효과의 측면에서는 증권강좌를 수강한 후의 성과가 수강전의 성과에 비해서 낮아졌는데 이는 초심자의 행운과 함께 초보수준의 지식이 투자성과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전체적으로 개인적 특성변수들은 증권교육효과에 유의한 차이를 주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를 더 체계화시켜서 투자회사의 인력계획과 학습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으며 향후 인지행위론적인 연구영역을 다양화시킬 수 있는 자료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초록2 Mathematical Models have an important role in explaining the stock price behavior so far but their limits have been pointed out at the same time. Behavioral finance(behavioral investments) is introduced as an alternative approach to solve the limits. This study deals with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using the simulation investments in the respect of behavioral finance.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are five ones : sex, birth order, age, blood type, and major.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male's investment performance is higher than that of female's. Second, AB and A blood type's performance is higher than that of B type. Third, humanities and social studies students,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students showed higher performance than the students of art and sports.Fourth, the overall education effect, which is measured by the increase in investment performance, was negative. It seems to be caused by Beginner's luck or elementary knowledge's negative effect. These results can be useful in business circle and contribute to extend the research field of behavioral finance
키워드1 인적특성변수, 증권교육, 투자성과
키워드2 Personal Characteristics, Investment Performance, Education Eff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