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게재논문 원문서비스

[제28권 3호]한국기업의 증권발행패턴과 자본구조이론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154
'논문제목1 Do Korean Firms have Changed their Financing Patterns and Capital Structures after the Asian Financial Crisis?

논문제목2 한국기업의 증권발행패턴과 자본구조이론

제1저자/소속 류성희/단국대학교, 교신저자/소속 임석필/단국대학교

학술지명 경영교육연구 발행기관명 한국경영교육학회

권(호) 28(3) 발행년월 2013년 6월

시작/끝 페이지 345/369 총페이지 25

언어 영어


초록1 We investigate Korean firms’ financing patterns, including debt and equity issuances and capital structure adjustment speed between 1989 and 2008. We test the most adequate capital structure theory that explains firms' actual debt ratio changing patterns for Korean firms. According to the trade-off theory, firms need to change their capital structures to maximize their values by achieving their optimal capital structures. In the pecking order theory, firms issue debt first when they need external funds. Our results show that firms have changed(or adjusted) their capital structures over a twenty year span, and they mainly use equity issuance. These results deny the pecking order theory, but support the trade-off theory. Our results, a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stock return(SR) and debt ratios,indicate that high (or overvalued) stock price reduces debt ratio by either issuing overvalued stocks or increasing the magnitude of total asset.
We use Frank and Goyal’s(2003) method and a dynamic partial adjustment process to test whether firms use debts for their financial needs and change their capital structures in order to close their optimal capital structures, respectively. Furthermore, we use a two-step System GMM estimator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our estimated results for capital structure adjustment speeds as we use a panel data set that likely has an endogeneity problem. We also use both book and market based debt ratios as there is no clear criteria of right debt ratio for a capital structure study.

초록2
본 연구는 1989년부터 2008년 사이에 한국기업의 자본조달 패턴(주식, 채권의 발행과 자본구조 조정 속도)과 이러한 패턴을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는 자본구조 이론을 조사하였다.Trade-off theory에 의하면, 기업은 기업의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해 최적자본구조에 도달하려고 자본구조를 조정한다. Pecking order theory는 기업이 외부 자본이 필요할 경우, 부채를 우
선적으로 발행한다고 주장하였다. 우리의 분석결과는 기업이 주식을 주로 발행해서 자본구조를 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pecking order theory를 부정하고, trade-off theory를 지지하는 것으로 보여 진다.
기업의 주가와 부채비율은 음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기업가치가 과대평가되었을 때 주식을 발행하거나, 과대평가된 주가에 의해 총자산의 가치가 증가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 결과는 market timing theory가 우리의 결론과 부분적으로 일치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분석방법에서는 Frank and Goyal(2003)의 방법론과, 동적 부분 자본구조 조정모형을 사용하였다. 패널자료와 동적 자본구조 조정모형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자료의 내생성에 대처하기 위해 a two-step System GMM을 사용하였다. 부채비율에 대한 분명한 이론적 기준이 없는 상황을 감안하여 부채비율은 장부가치와 시장가치의 두 가지 기준을 적용하였다.

키워드1 optimal capital structure, financial deficit, capital structure adjustment speed, a System GMM estimator, equity and debt issuances

키워드2 최적자본구조, 자본 부족, 자본구조 조정속도, System GMM, 채권과 주식발행'
 첨부파일
15-13-074.pdf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