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제목1 수익률이 투자자의 매매행태에 휴리스틱스로 작용하는가?
논문제목2 Does Return Work as Heuristics of Investors Behavior in the Korea Stock Market?
주저자/소속 이호/군산대학교, 교신저자/소속 김은정/서남대학교
학술지명 경영교육연구 발행기관명 한국경영교육학회
권(호) 28(2) 발행년월 2013년 4월
시작/끝 페이지 235/259 총페이지 25
언어 한국어
초록1 본 연구는 국내 주식시장에서 주식 수익률이 투자자들의 매매의사결정에 휴리스틱스로 작용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개별증권의 투자주체별 월별 전체 주문불균형과 과거수익률간의 패널분석을 실시하였고, 투자자 유형별(개인투자자, 외국인투자자, 기관투자자) 거래행태를 분석하여 각 투자주체별 매매행태에서 수익률의 의존성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투자자 유형별 주문불균형의 특징 및 거래행태에 투자대상 주식 특성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기업의 규모(대형주, 중형주, 소형주) 및 성장주와 가치주 변수를 추가하여 횡단면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투자자의 매매행태에 주가수익률 의존성이 확인되어 수익률이 투자자의 휴리스틱스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구체적으로 개인 투자자들의 당월 주문불균형은 전월의 수익률 하락보다, 수익률 상승이후에 매수우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모멘텀 투자 행태를 보이는 것으로 추론되었으며, 개인 투자자의 거래 행태는 외국인투자자의 모멘텀 거래를 모방하는 거래행태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국내 개인투자자들이 외국인의 거래량을 통해 매매시점 신호를 예측하고 투자를 실행하므로 이와 유사한 매매행태가 나오고 있는 것으로 추론된다. 외국인 투자자들의 분석결과에서는 모멘텀 투자 행태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관 투자자에서는 반대투자전략의 행태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투자자 유형별 선호 주식에 대한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주문불균형의 횡단면 분석을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개인 투자자의 경우, 상대적으로 소규모 기업과 성장주 및 변동성이 큰 기업에 대해서 선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 투자자의 경우는 대규모 기업과 성장주를 선호하고, 낮은 변동성 기업에 대해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아 제한적인 추론만 가능하였다. 마지막으로 기관 투자자의 경우, 소규모 기업과 성장주 및 가치주에 대한 선호가 혼재하여 나타났으나, 유의한 수준은 아니었다. 반면, 변동성이 낮은 기업에 대한 투자를 선호하는 것에 대해서는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초록2 This paper analyzes the relation between investors' trading order imbalances and past returns and firm characteristics and confirms the role of return as heuristics in the Korea stock market over the period of January 2007 through December 2011. Investors a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individual investors, institution investors, and foreign investors. The finding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we find that trading order imbalances including individual and foreign investors are positively related to past return, and trading order imbalances of institution investors are negatively related to past return. These results represent that individual and foreign investors behave as momentum traders and institution investors behave as contrarian traders. Also these results do support the idea that past return works as heuristics of investor in the Korea stock Market. The behavior of individual investors that follows the trading patterns of foreign investors implies that individual investors infer trading point from the foreign investors trading behavior. Second, we fit the cross-sectional regression to examine the cross-sectional relation between investors' trading order imbalances and firm characteristics. The results is that individual investors are more likely to buy small and growth stocks. However there is no significant preferences of stock in the foreign and institution investors.
키워드1 수익률, 주문 불균형, 투자자 유형, 매매행태
키워드2 Return, Order Imbalance, Investors Type, Trading Behavi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