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제목1 스왑시장의 자산시장에 대한 변동성전이효과와 정책적 시사점
논문제목2 The Volatility Spillover Effects of Swap Market on the Asset Market and Policy Implications
주저자/소속 김상수/경일대학교, 교신저자/소속 손삼호/경일대학교
학술지명 경영교육연구 발행기관명 한국경영교육학회
권(호) 28(2) 발행년월 2013년 4월
시작/끝 페이지 351/368 총페이지 18
언어 한국어
초록1 2000년대 들어 국내 외화자금시장에서는 스왑스프레드 역전 현상이 지속되어 외국인 투자자에 의한 스왑베이시스(swap basis) 차익거래가 확대되어왔다. 본 연구는 스왑베이시스의 변동성이 국내 자산시장에 대한 대칭적·비대칭적 변동성전이효과(spillover)를 가져오는지를 ARMA(1,1)-GARCH(1,1) 모형 및 ARMA(1,1)-GJR-GARCH(1,1) 모형을 이용하여 실증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스왑베이시스의 예기치 못한 변동성이 자산시장의 변동성으로 전이되는 효과가 통계적으로 1% 유의수준에서 양(+)의 값으로 유의하여 강한 변동성전이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대칭적 변동성전이효과를 분석한 결과 외환시장에서의 음(-)의 충격이 상대적으로 변동성을 더욱 확대시키는 비대칭적 영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정부의 선물환 포지션 규제가 외환시장의 변동성 완화는 물론 광범위한 국내자산시장에서의 변동성 완화에도 유효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국내 외은지점의 선물환포지션 한도를 현행 150%에서 한층 더 강화하는 방안 마련이 필요해 보인다.
초록2 This paper empirically shows that the long-term persistence of arbitrage opportunities in korean currency swap market could have the symmetric and asymmetric spillover effects for the asset market volatility by using ARMA(1,1)-GARCH(1,1) model and ARMA(1,1)-GJR-GARCH(1,1) model
The empirical results are summarized as the volatility spillover effects of swap basis are significant positive(+) value at the 1% significance level. These results show that strong volatility spillover effects are present. In addition, the analysis of asymmetric volatility spillover effects show that a relatively negative(-) shock amplifies the volatility of the equity markets.
These results suggests that korean government’s FX forwads position limitation could be effective on the volatility of the foreign exchange market, as well as a wide range of domestic asset market. Therefore it may be necessary for establishing plans to further strengthen the FX forwards position of the domestic branches of foreign banks
키워드1 스왑베이시스, 변동성전이효과, 선물환 포지션 한도규제, ARMA-GARCH 모형, ARMA-GJR-GARCH 모형
키워드2 Swap Basis, Volatility Spillover Effect, FX Forwards Position Limitation, ARMA-GARCH Model, ARMA-GJR-GARCH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