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게재논문 원문서비스

[제28권 1호] 가정방문교사의 행동통제성향과 조직몰입: 감정노동행동의 조절효과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139
'논문제목1 가정방문교사의 행동통제성향과 조직몰입: 감정노동행동의 조절효과

논문제목2 The Locus of Control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Home-visiting Worksheet Teachers: Moderating Role of Emotional Labor Strategy

주저자/소속 이영기/영남대학교, 공동저자/소속 김수희/영남대학교, 교신저자/소속 박동수/영남대학교

학술지명 경영교육연구 발행기관명 한국경영교육학회

권(호) 28(1) 발행년월 2013년 2월

시작/끝 페이지 257/278 총페이지 21

언어 한국어

초록1 학습지교사들의 교육서비스는 감정노동의 한 대표적 형태로서 개인성격특성으로서 네 가지 행동통제성향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주목하고 그 관계를 감정노동전략이 조절효과를 나타나는 지를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 네 가지 요약되었다. 첫째, 전반적으로 행동통제가 외재적인 교사일수록 조직몰입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섯 가지의 감정노동전략 중 표면행동 전략을 사용하는 교사들은 행동통제와 몰입과의 관련성을 조절하지 못했다. 셋째, 세분화된 내면행위전략 중 기초내면행동전략의 조절작용 가설의 채택률이 높은 편이며 행동통제가 외적우연에 그 원인을 돌리는 성향의 교사일수록 지속적 몰입을 감소시키는 결과가 나타내었다. 넷째, 고객관점내면행위와 기초표면행위 감정노동전략은 외적우연 귀인성향과 정서적 몰입관계를 감소시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이론적 및 실무적으로 서비스직 종사자의 행동통제 성향별로 각기 적합한 감정노동전략을 개발 및 사용함으로써 조직에 대한 세부적 몰입도를 관리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초록2 Currently the work of home visiting teachers as private tutor is one of typical educational services, which involve typical emotional labor. Home visit teachers regularly goes to membership homes, where kindergarteners or primary schoolers receive instructional worksheets, an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get instructional help from the teacher. This paper attempt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cus of control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home visiting teachers with the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labor strateg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shows a significant tendency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external locus of control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home visiting teachers. Second, most of the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strategy did not hol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Third, among the three types of deep acting strategy, only basic deep acting hold more statistical significance than the other types in its moderating rol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ttribution styl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urth, both the perspective-taking deep acting and perspective refocusing deep acting strategies were found to be negatively mode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xternal contingency attribution style and emotional organizational commitment.
Implications were drawn from the results and limitation of the study were discussed.

키워드1 감정노동, 조직몰입, 귀인성향

키워드2 locus of control, attribution style, organizational commitment, emotional labor strategy'
 첨부파일
12_12-145.pdf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