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게재논문 원문서비스

[제27권 6호] 경영학 교육에서의 액션러닝의 유용성: 자생체계 모형(VSM)에 의한 이중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188
'논문제목1 경영학 교육에서의 액션러닝의 유용성: 자생체계 모형(VSM)에 의한 이중 순환학습 방법을 중심으로

논문제목2 The usefulness of Action Learning for Business Education: The double-loop learning method through Viable System Model

주저자/소속 유재언/계명대학교, 공동저자/소속

학술지명 경영교육연구 발행기관명 한국경영교육학회

권(호) 27(6) 발행년월 2012년 12월

시작/끝 페이지 395/418 총페이지 24

언어 한국어

초록1 본 연구는 1990년대 이후 선진국 대학을 중심으로 가속화되고 있는 학생(참여자) 주도의 학습 방법이 보편화 되는 상황에서 국내 대학의 학생 주도의 학습이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지 액션러닝의 방법을 중심으로 그 유용성을 논의한다. 특히 본 연구는 액션러닝(action learning)을 통해서 현장 학습을 실시하고, 이러한 현장 학습을 통해서 발견된 문제점과 주요 이슈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학습자와 실무자가 논의의 과정을 통해서 대안를 제시하고, 이러한 액션러닝의 학습과정을 과학적 모델을 사용하여 이중 순환적인 학습방법으로 발전시켰다. 본 연구의 액션러닝의 이중 순환 학습 과정에서 도입한 과학적 모델은 봅 가라트(Bob Garratt) 교수에 의해서 제시된 자생체계 모형(Viable System Model)이다. 자생체계 모형을 통한 액션러닝의 방법론을 대학 교육에 적용한 결과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이론적·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액션러닝은 이중 학습의 순환 과정을 거쳐야 액션러닝의 학습효과가 제고된다는 것이다. 액션러닝의 이중 순환의 학습과정은 대상 조직이 당면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제 1차적 학습과정과 참여자들의 논의와 비판적 성찰 과정을 통해서 발생되는 제 2차적 학습과정으로 구분되어야 한다. 둘째, 경영학 교육의 측면에서 액션러닝의 적용은 일반 기업의 교육 방식과는 다르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액션러닝의 촉진자는 조직을 연구하는 데에 있어서 기업 조직의 목적을 성취하거나 기업의 가치를 향상시키는 데에 국한시키기 보다는 기업이 포함된 지역사회의 사회적 가치를 포함시키는 포괄적이고 윤리적인 방향으로 학습자를 유도해야 한다. 이러한 액션러닝의 방법론은 全一적인 사고 또는 ‘시스템 사고’와 윤리적 사고를 바탕으로 한 참여자 주도의 학습 방법이 된다.

초록2 This study analyzes the usefulness of the application of action learning in understanding of how students (participants)-centered learning takes place at the University in Korea like students -centered learning became popular at higher education systems and Universities in developed countries around the world. Using a practice-centered learning, the study aims to develop double-loop learning of action learning method using a scientific method. The scientific method used in this study is Viable System Model (VSM) that suggested by Professor Bob Garratt. With the result of the application of action learning methodology using VSM into the higher educational system in the university, we suggest that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action learning method in practice as follows. Firstly, action learning has a significant educational effect through the process of double-loop learning. The double-loop process of action learning consists of the primary learning process that finds out problem situations in organization and generates ideas for problem-solving activities, and developing secondary-learning process that happens through discussions and critical reflection upon the process of learning amongst participants. Secondly, the application of action learning should be a different approach for business education compared with education and training for business enterprises. The facilitator of action learning should guide participants to consider not only the immediate purpose of business enterprise but also social value of local community which the business enterprises are embedded in. In this sense, our proposed action learning methodology in this study becomes the participants-driven method, which is based on holistic thinking or systems thinking and ethical awareness in given contexts.

키워드1 액션러닝, 자생체계 모형에 의한 이중 순환 학습, 학생(참여자) 주도의 학습방법

키워드2 Action learning, double-loop learning through VSM, students (participants)-centered learning'
 첨부파일
12-125.pdf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