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제목1 대학생의 창업교육 선호도와 창업의지에 관한 실증적 연구
논문제목2 An Empirical Study on Business Start-up Education Preferences and Start-up Intentions of University Students
주저자/소속 정두식, 공동저자/소속
학술지명 경영교육연구 발행기관명 한국경영교육학회
권(호) 27(6) 발행년월 2012년 12월
시작/끝 페이지 373/394 총페이지 22
언어 한국어
초록1 본 연구는 최근 주요 이슈인 청년실업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청년창업이 대세로 부상하는 시점에 경남지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대학에서 창업교육의 활성화 방안에 대해 실증분석 통하여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응답자 대부분의 대학생들은 창업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매우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교육 수강여부를 묻는 질문에서도 응답자의 92.8%가 수강을 원하고 있어 대학생들의 창업교육에 대한 열기를 알 수 있었다. 향후 창업 시기에 관한 설문에서 대학 졸업 후 평균 8년 후에 창업을 하겠다는 응답자가 약60%로 나타났다. 향후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수들의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창업교육 횟수와 창업교육 경험 여부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성별, 월평균 소득, 아르바이트 경험, 전공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록2 Recently, the youth unemployment problem is being main issue in korea.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eeking of efficient business start-up education plan in university. This study's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As results, most of students surveyed appear to know the necessity of business start-up education in university. In the future, whether or not the lecture participation on business start-up education showed a very positive response(92.8%). The hoping period of business start-up was most of 8 years after graduating the university. As a results of an regression analysis on whether some variables have any effect on start-up intentions, start-up education count and start-up education career appeare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start-up intentions. Also, a sexul distinction, average monthly income, part-time job experience, mayor turned out a positive influence effects on start-up intentions.
키워드1 창업교육선호도, 창업의지, 기업가정신
키워드2 Business Start-up Education Preferences, Start-up Intentions, Entreneursh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