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제목1 지각된 디자인품질과 브랜드 명성이 스마트폰의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논문제목2 The Effect of Smartphone's Perceived Design Quality and Brand Reputation on the Customer Loyalty
주저자/소속 박지형/경희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박사과정, 공동저자/소속 신건권/호서대학교
학술지명 경영교육연구 발행기관명 한국경영교육학회
권(호) 27(4) 발행년월 2012년 08월
시작/끝 페이지 111/136 총페이지 26
언어 한국어
초록1 본 연구는 지각된 디자인품질(design quality)과 브랜드 명성(brand reputation), 지각된 유용성과 유희성 그리고 고객충성도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고객충성도에 영향요인을 탐색하여 고객충성도를 제고시킬 수 있는 마케팅전략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30대 미만의 대학생으로 한정했으며, 자료는 설문지를 이용해 2011년 6월 1일부터 15일까지 부실 기재된 42매를 제외한 695매의 유효 표본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와 AMOS 구조방정식모델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에 대한 고객의 지각된 디자인품질은 브랜드 명성, 지각된 유용성, 유희성 및 고객충성도에 정의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마트폰의 브랜드 명성은 고객충성도에 정의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마트폰에 대한 고객의 지각된 유희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정의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스마트폰에 대한 고객의 지각된 유용성과 유희성은 고객충성도에 정의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스마트폰 업체와 고객의 충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초록2 There were no enough researches on the some determinants of Smartphone's customer loyalty.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wo components(Perceived Design Quality, Perceived Brand Reputation) and basic factors of a revised TAM(Perceived Usefulness, Playfulness, Customer Loyalty). The SEM(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used for hypothesis-testing.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perceived design quality of Smartphone had a positive significant effect on the perceived brand reputation and the customer loyalty.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perceived brand reputation of Smartphone had a positive significant effect on the customer loyalty. Third, the perceived design quality had a positive significant effect on the perceived playfulness and usefulness. Finally,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playfulness had no positive significant effect on the customer loyalty. It is thought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Smartphone manufacturing firms and their customers with basic data required for elevating their loyalty.
키워드1 지각된 디자인품질, 지각된 브랜드 명성, 지각된 유희성, 지각된 유용성, 고객충성도
키워드2 Perceived design quality, Perceived reputation, Playfulness, Usefulness, Customer Loyal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