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게재논문 원문서비스

[제27권 3호] 지방자치단체의 재정특성이 지방채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149
'논문제목1 지방자치단체의 재정특성이 지방채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논문제목2 A Study on the Effects of Local Governments' Fiscal Characteristics on Local Debt

주저자/소속 오영호/위덕대학교, 공동저자/소속 편도창/포항시 재정관리과


학술지명 경영교육연구 발행기관명 한국경영교육학회

권(호) 27(3) 발행년월 2012년 06월

시작/끝 페이지 485/515 총페이지 31

언어 한국어

초록1 본 연구는 지방재정의 특성요인이 지방채무 수준에 어떤 영향이 있는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특히 지역 더미와 연도 더미를 포함한 회귀모형을 설정하고 지방채무 수준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정자립도는 자주성 지표로서 부채비율과 정(+)의 영향을 나타냈으나, 1인당 부채규모와는 음(-)의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정력이 높다고 해서 반드시 지방채무 수준이 높다고 볼 수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재정력이 높기 때문에 지방채 발행을 늘리게 할 수도 있다고 보는 반대의 의견도 있다. 재정자주도는 부채비율과 음(-)의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1인당 부채규모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상수지비율은 건전성 지표로서 지방채무와 음(-)의 영향을 나타낸 것은 지방채무 수준을 감소시키는 요인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지방채상환비비율은 지방채무와 양(+)의 영향을 나타낸 것은 지방채무 수준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셋째, 투자비비율은 생산성 지표로서 예상과는 달리 1인당 부채규모와 음(-)의 영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부채비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투자비비율이 높다고 해서 반드시 지방채무 수준이 높다고 볼 수 없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넷째, 수도권 지역 자치단체의 경우 지방채무와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지역의 자치단체는 비수도권 지역 자치단체보다 재정력이 상대적으로 유리하므로 지방채 활용을 소극적으로 운영하고 있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다섯째, 복식부기제도 도입 이후의 경우 지방채무 수준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초록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local governments' fiscal characteristics on the level of local debt. In particular, regression models are set up to include the dummy variables for the capital area and the adoption of double entry accrual accounting to analyze such eff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iscal self-reliance ratio, one of the fiscal independence indicators, i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debt to income ratio (DTI) but a negative effect on debt per capita (DPC) Financial strength on the part of local governments does not necessarily lead to a high level of local debt. On the contrary, financial strength enhances the borrowing capacity of local governments and so makes it possible for local governments to use more of local debt. Fiscal self-independence ratio, another fiscal independence indicator, turns out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DTI, but does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DPC. Secondly, current expenses ratio, one of the fiscal soundness indicators, i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local debt, meaning that it is one of the factors that reduce the level of local debt. Debt-service cost ratio, another fiscal soundness indicator, i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local debt, implying that it is one of the factors that increase the level of local debt. Thirdly, investment expenditure ratio, one of the fiscal productivity indicators, has a negative effect on DPC, but does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DTI. This result means that high investment expenditure ratio does not lead to a high level of local debt. Fourthly, a dummy variable for the capital area turns out to be negativ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result indirectly confirms the fact that the local governments located in the capital area are passive in the use of local debt relative to those in the non-capital area because the former have more favorable financial conditions than the latter. Fifthly, it turns out that the introduction of double entry accrual accounting has not affected the level of local debt.

키워드1 지방채, 지방채무, 지방자치단체, 재정특성, 부채비율, 채무부담행위, 보증 채무행위, 일시차입금

키워드2 Municipal Bond, Local Government Debt, Local Government, Fiscal Characteristics, Debt Ratio, Debt Bearing, Debt Guarantee, Short-term Debt'
 첨부파일
12-044.pdf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