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게재논문 원문서비스

[제27권 3호] 온라인 실행공동체에서 구성원 간 지식공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148
'논문제목1 온라인 실행공동체에서 구성원 간 지식공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논문제목2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Knowledge Sharing among Members of the On-Line Community of Practice

주저자/소속 오승원/전북대학교, 공동저자/소속 박경수/전북대학교


학술지명 경영교육연구 발행기관명 한국경영교육학회

권(호) 27(3) 발행년월 2012년 06월

시작/끝 페이지 147/170 총페이지 24

언어 한국어

초록1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 실행 공동체에서의 지식공유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는 요인들을 구성원 간의 관계와 개인적인 측면에서 연구해 보았다. 사회교환이론, 사회인지이론과 사회자본이론을 바탕으로 팔로워십, 상호작용성, 구성원 신뢰와 개인적 특성인 자기효능감, 자기표현욕구 등과 같은 변수가 몰입과 공유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307부의 설문지를 구조방정식모형으로 검증한 결과, 상호작용성은 몰입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지식공유 의도에는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구성원 신뢰는 가상 커뮤니티에 대한 몰입과 사이트에서의 지식공유 의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표현욕구는 지식공유 의도에 유의적 영향을 미친다는 분석결과가 제시되었다.

초록2 In the past decades, extensive research attention have been used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on knowledge sharing; however, some of them have examined knowledge sharing in the context of online community of practice.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the factors that influence knowledge sharing among the members who are involved with on-line community of practice. Based on social exchange theory, social cognitive theory, and social capital theory, we examined if five critical factors, including followership, interactivity, trust, self-efficacy, and self-presentation, are associated with intention to share knowledge and commitment to On-line community practice. Using questionnaire survey, 307 usable responses were collect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is employed to assess the relationships proposed as hypotheses.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show that (1) interaction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commitment to a virtual community, while (2) it doesn't significantly affect intention to share knowledge. In addition, it is shown that (3) trust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flow as well as intention to share knowledge, (4) the need for self-__EXPRESSION__ also significantly affects intention to share knowledge.

키워드1 온라인 실행공동체, 팔로워십, 상호작용성, 구성원 신뢰, 자기효능감, 자기표현욕구, 몰입, 지식공유 의도

키워드2 On-Line Community of Practice, Followership, Interaction, Trust, Self-Efficacy, Need for Self-__EXPRESSION__, Flow, Intention to Share Knowledge'
 첨부파일
12-007.pdf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