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게재논문 원문서비스

[제27권 3호] BIG5 성격특성과 셀프리더십의 관계에 관한 연구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161
'논문제목1 BIG5 성격특성과 셀프리더십의 관계에 관한 연구

논문제목2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Big5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Self-Leadership

주저자/소속 김해룡/울산대학교, 공동저자/소속 김정자/울산대학교
권영해/울산대학교


학술지명 경영교육연구 발행기관명 한국경영교육학회

권(호) 27(3) 발행년월 2012년 06월

시작/끝 페이지 115/146 총페이지 32

언어 한국어

초록1 본 연구는 구성원의 Big5 성격특성-외향성, 호감성, 성실성, 정서적 안정성, 개방성-과 셀프리더십의 관계에 관한 실증적 검증을 통해 셀프리더십의 이론적 확장과 실제적 적용에 기여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Big5 성격이 셀프리더십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Big5 성격과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매개역할을 검증하였다. 수립된 연구가설들은 U시 소재 7개 은행직원 232명을 대상으로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Big5 성격 중 외향성, 호감성, 성실성, 개방성이 셀프리더십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Big5 성격과 셀프리더십이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Big5 성격 중 외향성, 호감성, 성실성, 개방성이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침에 있어서 셀프리더십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발견으로부터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들이 논의되었다.

초록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heoretical advancement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self-leadership by empirically examining the relationship of Big 5 personality characteristics-extraversion, agreeableness, conscientiousness, emotion stability/neuroticism, openness to experience- and self-leadership. For achieving the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Big 5 on self-leadership and self-efficacy and the mediation effect of self-leadership on the relationship of Big 5 and self-efficacy. Relevant research hypotheses were tested with data collected from 232 employees working in bank branches located in U city. Results show that self-leadership i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extraversion, agreeableness, conscientiousness, openness to experience among Big 5 personality and self-efficacy is influenced by Big 5 and self-leadership. It is also found that self-leadership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extraversion, agreeableness, conscientiousness, openness to experience among Big 5 personality and self-efficacy.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from the findings.

키워드1 셀프리더십, Big5 성격, 자기효능감

키워드2 Self-leadership, Big5 Personality, Self-efficacy'
 첨부파일
12-002.pdf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