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게재논문 원문서비스

[제27권 2호] 일중독과 직무소진 관계에 있어서 시간통제감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146
'논문제목1 일중독과 직무소진 관계에 있어서 시간통제감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논문제목2 A Study on the mediating role of perceived control of time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workaholism and burnout outcomes

주저자/소속 한광현/전주대학교

학술지명 경영교육연구 발행기관명 한국경영교육학회

권(호) 27(2) 발행년월 2012년 04월

시작/끝 페이지 409/430 총페이지 22

언어 한국어

초록1 본 연구는 직무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로 일중독을 들고, 이러한 요인이 직무소진을 구성하는 정서적 탈진, 비개인화, 저성취감 등의 하위 척도들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그리고 시간통제감이 일중독에 따른 직무소진을 매개하고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연구의 수행결과 첫째, 일중독은 직무소진 변수들 가운데 정서적 탈진과 비개인화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중독 유형에 있어서는 성취지향적 일중독보다는 강박적 일중독이 정서적 탈진과 비개인화에 보다 더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일중독은 근로자들의 시간통제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나아가 시간통제감의 매개효과는 강박적 일중독과 정서적 탈진, 강박적 일중독과 비개인화의 두 과정에서만 확인되었다. 즉 강박적 일중독은 근로자들의 시간통제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계속해서 시간통제감이 개인의 정서적 탈진 및 비개인화에 부적 영향을 가져다준다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성취지향적 일중독은 시간통제감을 매개하지 않은 상태에서 직접 정서적 탈진과 비개인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를 통하여 시간통제감의 매개효과를 일부 확인함으로써, 개인에게 지각된 시간통제감이 개인이 처해 있는 상황과 결과 간 관계에 있어서 매개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초록2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workaholism and burnout outcomes, and the mediating roles of perceived control of time in those relationship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249 workers in large financial companies. This study measured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control of time using the hierarchic regression approac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regressions showed that workaholism is related to the emotional exhaustion and the depersonalization. But it is not related to the diminished personal accomplishment. But workaholism strongly related to all of the burnout outcomes. The obsessive-compulsive workaholism is strongly related to burnout outcomes as compared with the achievement-oriented workaholism. Second, all of the workaholism are related negatively to perceived control of time. And also perceived control of time had a negative relationships with job burnout. Third, perceived control of time partially mediated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workaholism and the burnout outcomes. Specially, perceived control of time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obsessive-compulsive workaholism and burnout(emotional exhaustion and depersonalization). But perceived control of time is not mediated all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achievement-oriented workaholism and burnout outcomes. This indicates that workaholism contributed incrementally to explaining burnout outcomes with indicators of perceived control of time.

키워드1 일중독, 시간통제감, 직무소진

키워드2 Workaholism, Perceived control of time, Burnout'
 첨부파일
12-011.pdf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