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제목1 모바일커머스 확산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학생 중심으로 -
논문제목2 A Study on the diffusion factors of mobile commerce based on the revised TAM model focused on university students
주저자/소속 오가영/건국대학교
공동저자/소속 최병우/건국대학교
학술지명 경영교육연구 발행기관명 한국경영교육학회
권(호) 27(2) 발행년월 2012년 04월
시작/끝 페이지 431/454 총페이지 24
언어 한국어
초록1 본 연구는 스마트폰의 급속한 확산과 더불어 하나의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는 모바일 쇼핑의 확산모형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모바일 쇼핑을 사회현상에 일대 변혁을 기하는 혁신으로 간주하고 지난 90년대 말부터 반복적으로 여러분야에서 연구되었던 기술수용모형(TAM)을 기반으로 하여 한국의 모바일 커머스 환경에 맞게 변수를 수정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현재 스마트폰 이용자에서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상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20대 초반에서 20대 중반의 대학생들의 대상으로 모바일 커머스의 확산에서 영향요인은 개인의 혁신성이 모바일 커머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유효성과 용이성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궁극적으로 모바일 커머스의 확산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초록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at factors influence on mobile commerce. Our model is based on classical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We suggest five factors such as innovativeness, usefulness, ease of use, affinity and intensive adoption of mobile commerce. The impacts of innovativeness, affinity, and TAM belief (usefulness, ease of use) on adoption intention of mobile commerce are test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techniques. The sample consisted of 373 Korean university students selected on the basis of convenience.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echnique was used to evaluate the casual model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easurement model. Our findings indicate that the innovativeness influences usefulness and ease of use and the usefulness and ease of use have an effect on intention to use of mobile commerce However, the innovativeness h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affinity of mobile. We suggested the modified diffusion model for mobile commerce based on TAM. The implications of this work are discussed for both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키워드1 모바일 쇼핑, 기술확산모형, 수정확산모형
키워드2 TAM model, Mobile Commerc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