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게재논문 원문서비스

[제26권5호] 학습동기와 학습전략이 학습만족도에 미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216
'
연구분야 사회과학 > 경영학
논문제목1 학습동기와 학습전략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일반대학 수강생과 학점은행 수강생을 중심으로 -
논문제목2 A Study on the Effect of Learning Motivation and Strategy on the Students Learning Satisfaction. - Focusing on the university students and the credit bank students -
주저자/소속 최희숙/서경대학교
공동저자/소속 전정수/서경대학교
학술지명 경영교육연구 발행기관명 한국경영교육학회
권(호) 26(5) 발행년월 2011년 10월
시작/끝 페이지 27/50 총페이지 24
언어 한국어
초록1 본 연구는 학습 특성과 학습전략 및 학습만족도와의 관계를 종합적인 모형으로 분석하여 학습동기를 유지해서 원하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학습전략의 활용과 학습동기에 맞는 학습전략은 무엇인지, 그리고 이에 따른 학습과정에서의 구체적인 실천방법을 마련함으로써 학습만족을 높이고, 학업성취로 이어질 수 있는 교수개입의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소재 S대학교의 일반학생과 대학부설 평생교육원 학점은행제 등록 성인학습자 총 415명이며,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습동기와 학습전략의 관계에 있어서, 사회성공 동기는 자원관리 전략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적만족 동기는 인지 전략과 자원관리 전략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동기와 학습만족도의 관계에 있어서는 사회성공 동기는 학습만족도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는 반면, 지적만족 동기는 학습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전략과 학습만족도의 관계에서는 인지 전략과 자원관리 전략은 학습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반면, 메타인지 전략은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기관별(일반학생, 학점은행학생)로 학습동기, 학습전략, 학습만족도의 관계에서 차이가 있었다.
초록2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learning strategy to meet learning motivation for attaining desired goal by keeping the learning motiv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characteristics, learning strategy,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synthetic model, and make the plan for teaching to enhance learning satisfaction and attain the learning goal by concrete practices in the learning course. The subject of the research was 415 persons who were the students enrolled in S University in Seoul and adult learners registered in the Credit Bank System at the University annex lifelong education institute, and the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pplied. As a result of the research, first, in the relation of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strategy, social success motivation appeared in giving significant impact on resources management strategy, and the motivation of intellectual satisfaction appeared in giving significant impact on cognition strategy and resources management strategy.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intellectual satisfaction appeared in giving significant impact on learning satisfaction, while social success motivation did not give significant impact on learning satisfaction directly.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trategy and learning satisfaction, metacognition strategy appeared in not giving significant impact on learning satisfaction, while cognition strategy and resources management strategy gave significant impact on learning satisfaction Last, there was the difference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strategy, and learning satisfaction per institution (the university students or the learners of the credit bank).
키워드1 학습동기, 학습전략, 학습만족도, 인지전략, 메타인지전략, 자원관리전략
키워드2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strategy, learning satisfaction, cognition strategy, metacognition strategy, resources management strategy
'
 첨부파일
11-085(final).pdf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