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게재논문 원문서비스

[제26권5호] 성과가 낮은 기업의 최고경영자 현금보상에 관한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235
'
연구분야 사회과학 > 경영학
논문제목1 성과가 낮은 기업의 최고경영자 현금보상에 관한 연구
논문제목2 The Study of CEO Cash Compensation on Poor Firm Performance
주저자/소속 박재영/원광대학교
공동저자/소속 이동녕/원광대학교
학술지명 경영교육연구 발행기관명 한국경영교육학회
권(호) 26(5) 발행년월 2011년 10월
시작/끝 페이지 469/493 총페이지 25
언어 한국어
초록1 경영자 보상과 기업성과 사이의 관련성을 분석한 많은 선행연구들은 양(+) 또는 음(-)의 주가수익률을 이용하여 성과를 분류함으로써 연구결과에 편의(bias)가 존재할 수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두 가지 기업성과 측정치(자산수익률의 변화와 주가수익률)를 세분하여 최고경영자 현금보상과 기업성과 사이에 민감도를 분석하고, 아울러 기업지배구조에 따른 최고경영자 현금보상과 기업성과 사이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성과측정치를 세분하지 않았을 경우, 시장조정주가수익률에 따른 최고경영자 현금보상의 민감도는 양(+)의 시장조정주가수익률에서 보다 음(-)의 시장조정주가수익률에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가수익률 분포에 기초한 기업성과측정치를 세분하여 분석한 결과, 세 가지 분류 형태(상․하위 1/3, 4분위, 10분위) 모두에서 중간정도의 성과를 가진 기업의 최고경영자 현금보상 변화에 비하여 낮거나 높은 성과를 가진 기업의 최고경영자 현금보상 변화가 자산수익률의 변화에 대하여 덜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산수익률의 변화와 주가수익률 분포에 기초한 성과측정치를 세분하여 분석한 결과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얻었다. 셋째, 기업의 지배구조에 따른 분석결과, 소유경영자 기업에서는 기업성과측정치를 세분하여 분석한 결과와 동일한 결과가 나타났고, 전문경영자 기업에서는 중간정도의 성과를 가진 기업의 최고경영자 현금보상 변화에 비하여 낮은 성과를 가진 기업의 최고경영자 현금보상의 변화가 자산수익률의 변화와 주가수익률에 대하여 더 민감하고, 높은 성과를 가진 기업의 최고경영자 현금보상 변화가 자산수익률 변화와 주가수익률에 대하여 덜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전문경영자 기업을 제외하고, 기업성과가 낮거나 높은 기업들의 최고경영자 현금보상결정을 하는데 있어서 사후정산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일률적으로 경영자 보상계약이 적용되고 있음을 암시한다. 즉, 성과가 낮거나 높은 기업의 최고경영자에게 현금보상을 통해서 제재를 가하거나 인센티브를 주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는 소유와 경영의 분리가 확실하지 않은 우리나라의 기업지배구조에 기인된 것으로 예측된다.
초록2 Some prior researches which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CEO compensation and firm performance pointed out that there is a bias in the results due to classifying firm performance using positive or negative stock returns(simple partition). Therefore, this study advances refines two firm performance measurements(earnings() and stock returns()) for analyzing the sensitivity between CEO cash compensation and firm performance. Also, this paper adds to research on corporate governance for analyzing relationship between CEO cash compensation and firm performance.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 using a simple partition, CEO cash compensation is more sensitive to negative stock returns than to positive stock returns. Second, after refining stock-return performance measures, CEO cash compensation in mid-level of firm performance is less sensitive than high or poor firm performance in all three types of classifying in alternative partitions of firm performance. Also, th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after refining earnings and stock return performance measure. Third, using corporate governance, th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after refining earnings for owner CEO firm. After refining earnings and stock return performance measures, CEO cash compensation is more sensitive to mid-level of firm performance than to poor firm performance for professional CEO firm. CEO cash compensation is less sensitive to mid-level of firm performance than to high firm performance. Except the professional CEO firm, the results show that an ex post settling up in CEO cash compensation based on poor firm performance does not systematically happen. In other words, CEOs are not penalized and are sometimes even rewarded when their firms perform poorly. This result can be inferred that there is unclear separation between the ownership and management among mixed conclusions.
키워드1 경영자 현금보상, 사후정산문제, 자산수익률, 주가수익률
키워드2 CEO Cash Compensation, Ex-Post Settling up, Rrturn on Assets Ratio, Stock Return
'
 첨부파일
11-127(final).pdf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