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분야 |  
   사회과학 > 경영학 | 
  
   
   
    | 
  
 
   
   | 논문제목1 |  
   직무열의의 선행요인과 효과 | 
  
 
   
    | 
  
 
   
   | 논문제목2 |  
   The Antecedents of Job Engagement and its Effects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 
  
 
   
    | 
  
 
   
   | 주저자/소속 |  
   박노윤/성신여자대학교
  |  
   공동저자/소속 |  
    | 
  
 
   
    | 
  
 
   
   | 학술지명 |  
   경영교육연구 |  
   발행기관명 |  
   한국경영교육학회 | 
  
 
   
    | 
  
 
   
   | 권(호) |  
   26(5) |  
   발행년월 |  
   2011년 10월 | 
  
 
   
    | 
  
 
   
   | 시작/끝 페이지 |  
   543/573 |  
   총페이지 |  
   31 | 
  
 
   
    | 
  
 
   
   | 언어 |  
   한국어 | 
  
 
   
    | 
  
 
   
   | 초록1 |  
   본 연구는 선행요인과 직무열의의 관계, 직무열의와 조직시민행동의 관계, 그리고 선행요인과 조직시민행동 간 관계에 대한 직무열의의 매개효과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Kahn(1990)의 개념적 틀에 근거하여 선행요인으로 직무환경, LMX, 목표지향성을 선택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첫째, 내재적 직무환경, LMX, 학습지향성 및 성과지향성이 직무열의와 긍정적으로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외재적 직무환경은 기대와 다르게, 직무열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둘째, 직무열의가 높은 사람이 조직시민행동을 하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열의가 선행변수와 조직시민행동 간 관계를 매개하였다. 직무열의는 직무환경, 성과지향성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 대해서 완전매개효과가 있으며, LMX, 학습지향성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 대해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직무열의의 선행요인이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메커니즘으로서 직무열의가 작용하는 정도를 보여주었다. 직무열의는 상황지각과 행동성향이 궁극적으로 조직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를 개선시킬 수 있는 중요한 개념이며, 동기유발적 측면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직무열의가 미래에 연구할 가치가 있는 의미 있는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 
  
 
   
    | 
  
 
   
   | 초록2 |  
   The goal of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engagement and its antecedents, and tested the role of job engagement as a medi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al antecedents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OCBs). The results of this study identified that intrinsic job condition, LMX, goal orientation were positively related to job engagement. But extrinsic job condition was negatively related to job engagement. Job engagement was positively related to OCBS. Finally, the relationships between LMX and learning goal orientation, and OCBs were partially mediated by job engagement. The associations between intrinsic, extrinsic job condition and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and OCBs were fully mediated by job engage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job engagement is a motivational concept and serves as an important mechanism through which its antecedents impact OCBs. These results suggest that job engagement is a useful construct that deserves further attention.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related to job engagement are discussed. | 
  
 
   
    | 
  
 
   
   | 키워드1 |  
   직무열의, 조직시민행동, 직무환경, LMX, 목표지향성 | 
  
 
   
    | 
  
 
   
   | 키워드2 |  
   Job Engagement, OCB, Job Condition, LMX, Goal Orient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