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게재논문 원문서비스

[제26권4호] 사회복지사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신뢰형성과 공동체의식이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180
'
연구분야 사회과학 > 경영학
논문제목1 사회복지사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신뢰형성과 공동체의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논문제목2 The Effects of Mutual Trust and Community Awareness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of Social Workers on Job Satisfaction
주저자/소속 김효선/대구대학교
공동저자/소속 조주복/강릉원주대학교
학술지명 경영교육연구 발행기관명 한국경영교육학회
권(호) 26(4) 발행년월 2011년 08월
시작/끝 페이지 77/97 총페이지 21
언어 한국어
초록1 사회복지조직의 서비스 제공은 인적 서비스가 중심이 되어 사회복지사 개인의 고도의 전문적 기술과 재량권에 기초하게 된다. 따라서 사회복지조직에서 인적자원관리는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사회복지사의 근로실태에 관한 서울시사회복지관협회 조사(2001)와 한국사회복지사협회 조사(2007) 등에서 알 수 있듯이 인적자원에 대한 관심과 처우는 열악한 실정이다(강종수, 2007). 또한 사회복지사는 전문직(profession)으로 대부분의 사회복지활동은 조직이라는 맥락 속에서 전개된다. 사회복지사에게 조직은 원조를 제공하는 중요한 도구일 뿐만 아니라 사회복지사들의 기술과 직무를 지지하고 개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사회복지사들의 상호간의 신뢰는 어디까지나 쌍방이 권한과 의무보다 책임을 소중히 여기고, 목표로서의 기대보다 결과로서의 기대가 한층 요청될 때 비로소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경북지역 사회복지사들의 관리자에 대한 신뢰형성과 공동체의식 및 직무만족을 분석하는 것은 조직효과성에 기여하는 바가 크고 선행연구가 많지 않다는 점을 감안하면 상당히 의미가 있다. 따라서 사회복지사들의 관리자에 대한 원만한 인간관계의 개선을 통한 신뢰형성과 공동체의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사회복지조직의 사회복지서비스의 전달체계의 확립과 임파워먼트(empowerment)를 향상시켜야 할 것이다.
초록2 Because service provision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is centered upon human services, it heavily depends on advanced skills and responsibilities of social welfare workers as individuals. Therefore, this emphasis on social welfare workers as individual professionals immensely intensified the importance of the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However, the surveys conducted by the Seoul Association of Social Welfare Centers (2001) and Korean Counil on Social Welfare (2007) show that the treatments and attentions paid to human resource management are meager. For social welfare workers, organizations are not only essential tools which provide necessary resources and funds but also supports to their work skills and jobs. Mutual trust shared between social welfare workers are only possible when mutual parties value responsibilities more than authority and duties and strive for higher expectations for results rather than goals. analyzing the bonds, the community awareness, and the work satisfactions of the manager of social welfare workers in Kyung Buk contributes heavily to organizational efficiency and do not have much proceeding works. From these lines of thinking, we can extrapolate that this work carries much weight to further development of social welfare studies and deserves much attention from scholars. Therefore, social welfare workers affect forming mutual trust, communal bond, and job satisfaction by consolidating the communication system of social welfare services and empowerment.
키워드1 사회복지사, 신뢰형성, 공동체 의식, 직무만족
키워드2 social welfare workers, mutual trust, the community awareness, the job satisfactions
'
 첨부파일
11-064(0).pdf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