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분야 |
사회과학 > 경영학 |
|
논문제목1 |
웹기반 평생학습자의 학습플로우 경험의 원인과 결과변수에 대한 연구: 경영학 전공을 중심으로 |
|
논문제목2 |
A Study on Cause and Consequence Variables of Flow Experience in Learning on the Web-based Lifelong Learner: Focused on the Major of Business Administration |
|
주저자/소속 |
박경환/고려사이버대학교 |
공동저자/소속 |
|
|
학술지명 |
경영교육연구 |
발행기관명 |
한국경영교육학회 |
|
권(호) |
26(2) |
발행년월 |
2011년 04월 |
|
시작/끝 페이지 |
243/270 |
총페이지 |
28 |
|
언어 |
한국어 |
|
초록1 |
본 연구는 경영학전공 웹기반 평생학습자를 대상으로 Csikszentmihalyi의 플로우 이론을 적용하여 학습과정을 분석하였다. 통계분석을 위하여 205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학습플로우 경험에 미치는 원인변수로서 학습플로우 조건이 가장 높은 설명력을 갖고 있었다(R2=.484). 그 외 웹기반 학습환경의 질과 자기목적적 성격은 유의하였지만 낮은 수준의 설명력의 증가를 가져왔다(△R2=.023). 자기주도학습은 유의한 설명력의 증가가 없었다. 학습플로우 조건의 하위변수 중에서는 즉각적 피드백이 학습플로우 경험의 43.8%를 설명하였다. 학습플로우 경험은 종속변수인 자기보고식 학업성취도(R2=.176), 객관적 학업성취도(△R2=.110), 기대과업수행효능감(△R2=.186)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학습플로우 경험의 하위변수 중에서 통제감이 학업성취도와 기대과업수행효능감에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왔다. 이밖에 본 연구는 경영학 전공 웹기반 평생학습자의 학습플로우 경험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과 학습플로우 경험의 결과에 대하여 상세하게 논의하고 있다. |
|
초록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ause and consequence variables of flow experience in learning on the web-based lifelong learner. The participants of the present study were 205 lifelong learner. And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to test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The result of this empirical study exhibits that 3 antecedent variables of flow experience in learning- flow conditions(△R2=.484), autotelic personality(△R2=.010), web-based learning environment quality(△R2=.013)- have positive effects on flow experience in learning. But self-directed learning does no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added effects. And flow experience in learning has positive effects on the consequence variables of flow experience in learning- self-reported academic achievement(△R2=.176), objective academic achievement(△R2=.11), expected task efficacy(△R2=.186). Especially, immediate feedback of flow conditions has positive effects on flow experience(43.8%), and sense of control has positive effects on self-reported academic achievement(13.9%), objective academic achievement(8.3%), expected task efficacy(16.5%). How to enhance flow experience in learning on the web-based lifelong learners was discussed on this paper. |
|
키워드1 |
학습플로우 조건, 학습플로우 경험, 자기목적적 성격, 웹기반 학습환경의 질, 4채널 학습플로우, 자기주도학습, 학업성취도, 기대과업수행효능감 |
|
키워드2 |
Flow Conditions in Learning, Flow Experience in Learning, Autotelic Personality, Web-based Learning Environment Quality, Self-directed Learning, Academic Achievement, Expected Task Efficac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