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계투명성과 가치경영: 집중투표제도와 사외이사제도를 중심으로
Accounting Transparency and Value-Based Management : Role of Cumulative Voting and Outside Director System
배현정(조선대학교), 최웅용(전남대학교), 전성일(전남대학교)
IMF 외환위기의 주요 원인으로 기업지배구조 문제가 지적되면서 개선을 요구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고조되고 있다. 이에 기업들은 지배구조개선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개선을 위한 여러 제도적 장치를 도입하여 적용하고 있다. 기업지배구조 개선을 위한 제도적 장치 중에서도 소수주주의 권리보호를 위한 집중투표제도와 이사회 제도의 개선을 위한 사외이사제도가 가장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IMF 외환위기 이후 지배구조 개선의 일환으로 시행된 집중투표제도와 사외이사제도가 회계투명성 강화와 기업가치 향상에 공헌했는가를 실증 분석한다. 이들 제도의 도입 취지는 최대주주의 전횡을 사전에 방지하고, 소수주주의 권리를 보호하며, 경영자를 감시함으로써 경영투명성과 회계투명성을 제고시키는데 있다. 그렇다면 과연, 집중투표제도와 사외이사제도가 기업지배구조개선에 어떠한 영향으로 작용하며, 결국 회계투명성과 기업가치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다. 이에 본 연구는 2002년부터 2004년까지 한국신용평가(주)의 KIS-VALUE 데이터베이스에 수록된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이들 제도의 실효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주요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집중투표제도를 도입한 기업일수록, 사외이사비율이 높은 기업일수록 회계투명성과 기업가치가 그렇지 않은 기업보다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집중투표제도의 경우 이사 선출시 지배주주의 전횡을 막고 경영자를 감시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회계투명성과 기업가치를 향상시키는데 영향을 미치며, 또한 사외이사제도는 기업 내부지배 메카니즘으로서 경영자 본연의 역할을 수행하게 하고, 경영자에 대한 감시와 책임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회계투명성과 기업가치를 향상시키는데 공헌한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