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게재논문 원문서비스

[제38집] 표준감사보고서 개선과 회계교육의 회계감사 기대차이 축소 효과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423
'● 제목 : 표준감사보고서 개선과 회계교육의 회계감사 기대차이 축소 효과

● 저자 : 이 명 곤, 한양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 접수일자:2004-08-12

● 게재확정일자:2005-01-05

● 초록 : 회계감사분야에서 기대차이는 ‘감사보고서이용자가 감사의 결과에 대하여 기대하거나 요구하는 것과 감사인들이 합리적으로 수행가능하다고 기대하는 것의 차이’를 의미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회계감사분야에서 기대차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표준감사보고서의 개선과 회계교육이 기대차이를 축소시키는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은행의 여신심사역을 대상으로 실험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감사보고서의 4가지 유형을 실험적으로 조작하여 집단간 변수로 하였으며, 회계교육수준은 상, 중, 하 3개의 수준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종속변수인 기대차이를 측정하기 위하여 회계감사에 대한 여신심사역의 비합리적 기대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에서도 회계감사에 대한 기대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회계감사의 한계점을 강조한 표준감사보고서의 개선과 회계교육이 회계감사분야에서 발생하고 있는 기대차이를 축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회계감사준칙의 개정에 의해 과거 표준감사보고서가 현행 표준감사보고서로 수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기대차이를 축소시키는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기대차이를 축소시키기 위하여 회계감사의 한계점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표준감사보고서의 개선과 감사보고서이용자를 대상으로 회계교육 특히 회계감사교육의 강화가 요청된다.
본 연구의 결과가 공헌하는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최근에 감사인의 책임을 강조하고 있는 상황에서 회계감사에 대한 기대차이를 연구하는 것은 실무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둘째, 본 연구를 확장하는 많은 후속 연구를 기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준감사보고서의 개선과 관련하여 주가반응, 감사인이 피고가 된 소송에서 감사인 책임 한계 범위의 변화 등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셋째, 본 연구의 결과가 회계교육에 환원될 가능성이다. 왜냐하면 본 연구에서 유의하게 나타난 실험변수 중 하나가 회계교육이기 때문이다.'
 첨부파일
표준감사보고서_개선과_회계교육의_회계감사_기대차이_축소_효과(이명곤(Lee_Myung-Gon))_661070.pdf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