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게재논문 원문서비스

[제29권 3호]한·중 대학생 창업의도의 영향요인에 관한 다중집단 경로분석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225
논문제목1 한‧중 대학생 창업의도의 영향요인에 관한 다중집단 경로분석

논문제목2 The Effects to Entrepreneurial Intention between Korea and China University Student - Focused on Multiple Group Path Analysis -

주저자/소속 정대용/숭실대학교 공동저자/소속 김춘광/백석대학교 양준환/단국대학교

학술지명 경영교육연구 발행기관명 한국경영교육학회

권(호) 29(3) 발행년월 2014년 06월

시작/끝 페이지 176/201 총페이지 26

언어 한국어

초록 1 창업에 주목하는 국가적 분위기와는 별개로 대학생들은 여전히 창업보다는 취업을 선호한다. 대학생들의 창업의도가 낮다는 것은 그동안 대학생을 비롯한 청년창업을 장려해 온 정부의 정책이 효과적이지 못했다는 반증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창업 행위의 대표적 예측변수인 창업의도를 중심으로 개인 심리특성 변수와 환경, 정황을 함께 고려한 연구모형을 수립, 검증함으로써 창업과정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특히 정부가 주요 정책 대상으로 삼고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 창업참여도 그리고 창업의도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창업활동과 대학생을 연계하여 살펴보았다. 여기에 한국과 중국의 자료를 함께 수집하여 비교함으로써 한‧중 대학생이 어떤 차이를 갖는지 확인하였다.
수립된 연구모형을 중심으로 한국(n=79)과 중국(n=159)에서 수집된 총 238명의 응답을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양국 데이터를 적용하여 각각의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고, 다중집단 경로분석 통해 경로값의 통계적 차이까지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양국 공히 모든 가설이 채택되었다. 즉, 자기효능감은 창업의도와 창업참여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창업참여도는 창업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중집단 경로분석에서는 자기효능감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통해 정부의 정책적 지원과정에서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교육․훈련방안이 포함․강조되어야 함을 밝혔다. 특히 중국 대학생보다 한국 대학생들이 창업관련 활동과 창업의도에 자기효능감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 것으로 확인된 바, 저하된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 회복과 고취를 통해 각종 지원정책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음을 제언하였다.

초록 2 Unlike social atmosphere surrounding the startup, college student prefers being hired by a firm to self-employment. Since startup takes place throughout intentional and planned behavioral process, this low level of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young people reflects poor effectiveness of Government political efforts to encourage them for creating new business.
This study was designed to better understanding of entrepreneurial process by modeling entrepreneurial intention, person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and environmental variable. Our aim was to review the startup activities of college students closely by tes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entrepreneurial participa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The data abstracted from total 238 respondents by both Korean(n= 79) and Chinese students(n=159). Followings refer to summary of our findings. Self-efficacy of both countries showed giving positive impa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significantly. Self-efficacy has influenced positively on both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entrepreneurial participation. Also entrepreneurial participation has affected entrepreneurial intention positively. In addition, the result of multiple group path analysis for testing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differen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shows self-efficacy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the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participation as well as entrepreneurial participa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has no statistic significance.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can be presented as followings, based 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Self-efficacy was identified as an critical antecedent of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so government policy need to move forward actively to foster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Again, as self-efficacy gives positive effect on entrepreneurial participation, we suggest that self-efficacy need to be promoted so as to lead them to participate in various startup programs provided by Government. Also, the finding of this study implies that the greater participation of startup program, the greater entrepreneurial intention the students have. Finally, the highlight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effect of both of personal psychological variable and the degree of entrepreneurial participation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simultaneously. Accordingly, the merit of this research is to present how and what aspects government policy should focus on in terms of startup supportive program for young people.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we suggest that generalization can be attained by considering all critical factors together such as cultural, historical and social background as well as by collecting much more samples for further study.

키워드1 한‧중 대학생, 자기효능감, 창업참여도, 창업의도, 다중집단 경로분석

키워드2 Korea and China University Student, Self-efficacy, Entrepreneurial participation, Entrepreneurial Intention, Multiple Group Path Analysis
 첨부파일
한‧중_대학생_창업의도의_영향요인에_관한_다중집단_경로분석.pdf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