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제목1 패널회귀분석을 이용한 거래활동 특성치가 주식유동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KOSPI200 기업을 대상으로 -
논문제목2 A Study on the Effect of Trading Characteristics on Stock Liquidity by Panel Regression Analysis: focused on KOSPI200 Companies
주저자/소속 김희석/대구대학교 공동저자/소속 조경식/대구대학교
학술지명 경영교육연구 발행기관명 한국경영교육학회
권(호) 29(3) 발행년월 2014년 06월
시작/끝 페이지 224/246 총페이지 23
언어 한국어
초록 1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주식시장에서 주식유동성에 대한 두 가지 이슈를 분석하는 것이다. 하나는 서로 다른 주식유동성 대용변수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주식의 거래활동 특정치가 주식유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우리나라 KOSPI200 기업을 대상으로 2006년부터 2010년까지 일별자료를 이용하여 상관관계분석과 패널회귀분석을 통하여 실증분석하였다. 주식유동성 대용변수로서 Amihud(2002)의 비유동성비율, 호가스프레드율, 제로수익률비율 및 주식회전율을 사용하였다. 거래활동의 측정치로서 주가, 거래량 및 주가수익률의 변동성을 사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도입한 주식유동성 대용변수들 사이의 상관관계는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기업규모별로는 혼재된 결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사실은 주식유동성 대용변수들은 각각 다른 차원과 다른 거래행동의 형태를 대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거래활동 특성치들이 Amihud(2002)의 비유동성비율에 영향을 미치는 증거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주가는 유일하게 제로수익률비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거래량은 호가스프레드율, 제로수익률비율 및 주식회전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주가수익률 변동성은 호가스프레드율, 제로수익률비율 및 주식회전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우리나라 주식시장에서도 주식유동성은 다면적인 개념이고, 각 주식유동성 대용변수는 단순히 어떤 유동성의 특정한 상황을 설명한다는 Stoll(2000)의 주장과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초록 2 This paper examines two empirical issues regarding stock liquidity in Korean stock market. One is to analyse the correlation among different liquidity proxies, and the other is to analyse the effect of stock trading characteristics on different stock liquidity. The analysis in this paper adopts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method of panel least squares at the daily level from 2006 to 2010 focused on KOSPI 200 companies. This paper employs four widely used liquidity proxies: Amihud(2002)’s illiquidity ratio, the percentage of bid-ask spreads, zero return ratio and stock turnover. We use share prices, trading volume, and stock returns volatility as proxies of trading activity’s measur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find there is a weak correlation among the employed liquidity proxies. But the correlation among the different sized group is mixed. This implies that they represent different dimensions of liquidity and a certain type of trading behavior respectively. Second, we find no evidence on the effect of trading characteristics on Amihud(2002)'s illiquidity ratio. But this paper shows that price has only a positive influence on the zero return ratio, trading volume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percentage of bid-ask spreads, zero return ratio and stock turnover, but stock returns volatility has a negative influence on the percentage of bid-ask spreads, zero return ratio and stock turnover. This finding in Korean stock market is consistent with Stoll(2000)’s the contention that stock liquidity is a multifaceted concept and each alternative proxy may only explain a certain aspect of liquidity.
키워드1 거래활동 특성치, 주식유동성, 글로벌 금융위기
키워드2 Trading Characteristics, Stock Liquidity, Global Financial Cri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