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제목1 소비자의 자신감이 서비스성과, 만족,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서비스구매결정을 중심으로
논문제목2 The Effect of Consumer Self-Confidence on the Service Outcome Perception, Satisfaction, Word of Mouth Intention: The Focused of Service Purchasing Decision Making
주저자/소속 김정희/제주대학교 공동저자/소속 김미성/제주대학교
학술지명 경영교육연구 발행기관명 한국경영교육학회
권(호) 29(3) 발행년월 2014년 06월
시작/끝 페이지 267/292 총페이지 26
언어 한국어
초록 1 본 연구는 소비자의 서비스구매의사결정과정에서, 소비자의 자신감이 서비스성과 지각, 만족,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이론적 배경으로부터 연구 가설 및 연구 모형을 도출하고, 설문조사에 의한 실증연구를 통해 이를 검증하였다. 설문조사는 3개월이내에 미용실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편의추출하였으며, 총238부가 최종 분석에 이용되었다. 구조방정식모델링을 이용하여 실증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자신감은 정보탐색, 과정, 결과에 대한 자신감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정보탐색・과정・결과에 대한 자신감은 서비스성과 지각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정보탐색・결과에 대한 자신감은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넷째, 서비스성과 지각과 만족은 구전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이와 같은 결과는 소비자의 서비스구매의사결정과정에서 자신감을 인식시켜주고, 서비스 접점에서 서비스제공자는 소비자의 서비스 경험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커뮤니케이션활동을 강화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초록 2 This study set out to analyze the effects of consumer self-confidence on service outcome perception, satisfaction, and word of mouth intention in the context of the consumer's service purchasing decision making. In order to achieve the aim of the study, the study set a research hypothesis and model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s, and then verified them through empirical research, distributing questionnaires to university students users of beauty salons.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program The research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elf-confidence was comprised of self-confidence in information inquiry, process, and result. Second, self-confidence in information inquiry, process, and result had positive(+) effects on service outcome perception. Third, self-confidence in information inquiry and result had positive(+) influences on satisfaction. Fourth, service outcom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had positive(+) impacts on word of mouth intention. Those findings imply that service providers should help consumers be aware of self-confidence in a decision making process for purchase and reinforce their communication activities to maximize consumers' service experiences at service encounters.
키워드1 자신감, 서비스성과, 만족, 구전의도
키워드2 Self-Confidence, Sservice Outcome, Satisfaction, Word of Mouth Inten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