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게재논문 원문서비스

[제29권 3호]균형관점에 기초한 감사품질 분석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200
논문제목1 균형관점에 기초한 감사품질 분석

논문제목2 Auditing Quality Based Equilibrium View

주저자/소속 안홍복/계명대학교 공동저자/소속 도상호/계명대학교 윤종철/계명대학교

학술지명 경영교육연구 발행기관명 한국경영교육학회

권(호) 29(3) 발행년월 2014년 06월

시작/끝 페이지 312/338 총페이지 27

언어 한국어

초록 1 본 연구는 최근까지도 감사분야에서 핵심적인 논쟁의 중심에 있는 감사품질에 대해 경제학적 관점을 반영한 해석과 그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는 감사품질을 감사인의 단독 결정문제로 보지 않고, 감사인과 경영자의 상호 작용에 의해 결정되는 문제로 인지하고 있고, 또한 감사품질 결정을 정태적 관점보다 동태적 관점인 균형의 관점에서 이해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감사품질의 결정과정을 감사인의 효용과 경영자의 효용의 상호작용에 의한 균형 상태로 정의하고, 감사품질이 감사보수 및 비감사서비스와 어떻게 상호작용을 통해 균형에 도달하는가에 대한 이론적 모형을 제안한다. 분석결과는 DAVAR 변수의 계수는 예측된 방향인 음(-)으로 나타났고, 통계적 유의수준인 1%에서 감사품질균형 결정에 대해 유의한 의미를 갖고 있는 것으로 판정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기업이 감사와 비감사서비스에 투입하는 자본예산을 확대하는 경우 감사인도 이에 대한 합리적 반응으로 감사시간, 감사투입 인력 등과 같은 감사품질에 관련된 자원의 확대를 동반 투자하게 되고, 이 과정을 통해 재량적 발생액의 변동규모가 이전보다 축소되어지는 감사품질 개선이 달성되어짐을 보여주는 실증증거로 간주된다. ERRORVAR 및 TIMEVAR 변수의 계수 방향도 예측방향과 일치되게 음(-)의 방향으로 나타나고, 이는 본 연구에서 주장한 바와 같이 감사와 비감사서비스에 대한 기업의 투자자본이 확대되는 경우, 감사인은 기존의 감사품질 균형보다 더 높은 감사품질을 제공하기 위해 감사품질의 균형을 이동하여야 하며, 이러한 균형 이동 과정에서 재무제표오류 및 감사시간 변동성 감소와 같은 관찰 가능한 현상이 발생되어짐을 의미한다.

초록 2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at audit quality, audit and non-audit service fees are simultaneously determined based economics model. Prior studies ignored that auditing quality, audit and non-audit service fees could be biased economics behavior logic. Prior researches agree that it is the strength of the economic bond between the audit firm and its client that reduces audit quality. Intuition, informal analysis, and a variety of theories of various aspects of auditor-client interaction suggest that audit fees, non-audit service fees, and abnormal accruals are jointly determined.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determinants of Auditing and NAS purchases to shed light on the extent to which economic efficiency explains firms’decisions to acquire Auditing and NAS from the auditor. We analyze 467 firm-year observations over the 2003-2009 period. We first find that the equilibrium of Auditing Quality have significantly negative relationship discretionary accruals. This suggests that auditors reflect the enlargement of non-audit fees regarding the equilibrium of Auditing Quality in audit decision, resulting in increased audit hours and higher auditor. Second, the variability of accounting error and audit hours tend to be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equilibrium of Auditing Quality. This implies that auditors consider the enlargement of non-audit fees as a manager intension of auditing quality and increase their audit efforts to reduce the audit risks. Based on these empirical results, we infer that the equilibrium of Auditing Quality affect the discretionary accruals, accounting error and audit hours. This study provides the first systematic evidence of an impact of the equilibrium on the quality of auditors' decision makings such as audit efforts and audit fees.

키워드1 균형, 감사품질, 감사보수, 비감사서비스

키워드2 Equilibrium, Auditing Quality, Audit Fees, Non-Audit Fees
 첨부파일
균형관점에_기초한_감사품질_분석.pdf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