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제목 1 경영진단의견서(MD&A)의 공시품질과 타인자본비용
논문제목 2 The Disclosure Quality of Management Discussion and Analysis and the Cost of Debt
주저자/소속 이아영/강원대학교 교신저자/소속 김길훈/제주대학교
학술지명 경영교육연구 발행기관명 한국경영교육학회
권(호) 29(1) 발행년월 2014년 2월
시작/ 끝 페이지 407/430 총페이지 24
언어 한국어
초록1 본 연구는 MD&A공시품질과 타인자본비용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완전공시를 통한 정보비대칭 문제의 완화가 자본비용을 감소시키는지를 살펴보았다. 2010년과 2011년 동안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기업들을 대상으로 측정된 MD&A 공시품질을 이용하였으며 신용등급과 차입이자율을 타인자본비용에 대한 대용치로 사용하였다. 실증결과 MD&A 공시품질이 높을수록 신용등급이 향상되고 차입이자율이 하락하여 타인자본비용이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미래관련 MD&A 공시품질과 MD&A 공시품질을 낱말수로 측정한 양적측정치는 자본비용과 음(-)의 관계에 있다는 유의한 발견은 할 수 없었다. 이는 국내기업들이 미래관련 MD&A 공시를 거의하지 않아 미래관련 MD&A 공시품질이 많이 훼손되어 있다는 반증이 될 수 있다. 그리고 MD&A 공시의 양적인 측면보다 질적인 측면이 자본비용에 더 의미 있는 변수가 되는 것으로 나타나, 공시품질과 공시수준을 동일개념으로 간주하여 분석한 많은 선행연구들의 한계점을 발견한 것으로 공시품질과 공시수준의 차별적인 특성를 구분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본 연구는 충실한 MD&A 공시가 자본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실증적 증거를 제시함으로써, 열악한 MD&A 공시환경에서 국내기업들의 MD&A 공시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제고시키고 MD&A의 성공적 정착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기존의 선행연구들과 달리 본 연구는 공시품질의 대용치로 MD&A 공시품질을 이용하였으며 MD&A가 경영자와 외부이해관계자 사이의 정보비대칭을 완화시킬 수 있는 주요 변수가 될 수 있다는 점을 발견했다는 점에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초록2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the MD&A disclosure quality on the cost of debt using a sample of firms that were listed in the Korea Exchange Market from 2010 to 2011. Two alternative measures of the cost of debt are considered here: (1) the credit ratings provided by credit rating agency and (2) borrowing rates calculated by using financial statements.
The result of empirical tests shows that MD&A disclosure quality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credit ratings and negatively associated with borrowing rates. This implies that high disclosure quality of MD&A decreases the investor's estimation risk and adverse selection problem resulting in low cost of debt. On the other hand, when we use the disclosure score comprised of only forward-looking disclosure as proxy of MD&A disclosure quality, we can not find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MD&A disclosure quality and cost of debt. This implies that the MD&A disclosure quality with respect to forward looking information of Korean firms is in general too poor to show any difference among them. And when we use the disclosure score measured by the number of words contained in MD&A as a proxy of MD&A disclosure quality, we can not find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MD&A disclosure and cost of debt. This means that we should differentiate between qualitative measure and quantitative measure as a proxy of disclosure quality.
By presenting the empirical evide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D&A disclosure quality and cost of debt, it will be expected that the recognition about the importance of MD&A disclosure can be improved and MD&A disclosure practice can be successfully settled in Korea.
키워드1 경영진단의견서, 타인자본비용, 정보비대칭, 공시품질
키워드2 Management discussion and analysis(MD&A), Cost of debt, Information asymmetry, Disclosure qu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