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제목 1 경영대학 신입생들의 대학적응을 위한 동기유발프로그램의 효과
논문제목 2 The Effects of Motivational Program to help College Adaptation of Business College Freshmen
주저자/소속 최임수/건양대학교 교신저자/소속 박상연/건양대학교
학술지명 경영교육연구 발행기관명 한국경영교육학회
권(호) 28(6) 발행년월 2013년 12월
시작/ 끝 페이지 109/128 총페이지 20
언어 한국어
초록1 본 연구는 신입생들의 성공적인 대학생활 적응을 조기에 유도하기 위해 도입된 동기유발학기의 운영 효과를 분석하고, 동기유발학기의 운영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12학년도와 2013학년도에 동기유발학기에 참여한 K대학교 경영대학 신입생 476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동기유발학기 운영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를 리커트 5점 척도로 측정한 결과 3.74로 나타났고 응답자의 66.6%가 전반적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동기유발학기의 운영은 신입생들이 자아를 발견하고 미래의 꿈을 설계 · 실현하려는 동기를 유발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며, 결과적으로 신입생들의 대학 및 전공학과 적응을 돕고 대학에 대한 자긍심을 제고하는데 기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동기유발학기의 운영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동기유발학기의 비전제시 변수 및 대학적응 변수가 1% 유의수준에서 정(+)의 값을 보였다. 그리고 동기유발학기가 시행된 2 기간을 비교한 결과, 2013학년도에 실시된 동기유발학기의 운영 만족도가 2012학년도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대학 신입생들의 대학생활 적응력을 제고하기 위해 새로운 교육프로그램 도입을 고려하고 있는 각 대학들에게 K대학교 경영대학에서 시도했던 동기유발학기 프로그램의 운영결과를 공유하고, 보다 발전된 신입생 적응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필요한 논의에 실증적 분석 자료를 제공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초록2 This research analyzes the effects of motivation semester to help successful college adaption of freshmen, and further, analyzes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satisfaction of motivation semester. For this purpose, the analysis was made to 476 freshmen of Business College of K-University who participated in motivation semester in 2012 and 2013. The following shall include the brief of this research;
First, the satisfaction level of motivation semester showed 3.7458 out of 5 in Likert scale and 66.6% of respondents were generally satisfactory. Motivation semester was perceived to motivate freshmen to discover self and to dream a future career. Consequently, motivation semester was analyzed to contribute to help freshmen adapt to college and departments, and also to feel pride in the university they entered.
Second, the result of multi-regression analysis, vision provision variable and college adaption variable were had positive significant influence at the level of 0.01 on the satisfaction level of motivation semester operation. And the satisfaction level of 2013 was higher than that of 2012.
This research provides other universities considering new education programs for college adaptation of freshmen with the chance to share the results of motivation semester operation of Business College of K-university. Besides, the empirical data given in this study might contribute to seeking for further developed ways for freshmen’s successful school adaptation.
키워드1 대학생활적응, 동기유발학기, 신입생, 비전제시, 만족도
키워드2 College Adaptation, Motivation Semester, Freshmen, Vision Provision, Satisfaction Le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