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제목1 콜센터에서 여성 관리자의 변혁적 리더십과 여성 부하의 직무 만족간의 관계:여성 부하의 결혼 여부에 따른 검증 차이
논문제목2 The Relationship between Women'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Women Followers Job Satisfaction and Moderating Effect of Marital Status
주저자/소속 이준호/호서대학교 교신저자 박노윤/성신여자대학교 공동저자/소속 한준구/고려대학교
학술지명 경영교육연구 발행기관명 한국경영교육학회
권(호) 28(5) 발행년월 2013년 10월
시작/끝 페이지 81/111 총페이지 31
언어 한국어
초록1 변혁적 리더십은 그 효과가 지속적으로 검증되어온 리더십 이론이다. 그리고 변혁적 리더십
은 최근 주목받고 있는 여성 리더에 적합한 특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논의되어왔다. 그러나 기존 실증연구에서 변혁적 리더십이 여성 리더에게 효과적이라는 점에 대하여 엇갈린 결과를 도출해왔다. 특히 국내에서 관련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었다. 본 연구는 국내 맥락에서 여성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어 부하의 성이 고려되어오지 않은 이슈를 제기하며, 여성 부하에 대한 효과를 검증할 필요를 제시하였다. 아울러 국내 맥락에서 결혼여부가 미치는 직장생활에서의 영향력이 큰바, 여성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 효과에서 여성 부하의 결혼여부가 조절기능을 할 수 있음을 예측하였다. 대부분 여성들이 종사하는바, 성 고정관념 및 성 차별적 조직문화가 비교적 약한 금융기관 콜센터에 근무하는 여성부하(상담원)들 180명을 대상으로 실증한 결과, 여성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은 여성 부하의 직무만족에 유의한 정적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특히 이러한 효과는 미혼여성 부하보다 기혼여성 부하에게서 유의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변혁적 리더십의 효과와 관련한 성 차이 및 국내 사회적 맥락에서 중요한 결혼여부 등의 고려가 갖는 의미 등을 설명하고, 향후 연구를 위한 다양한 방향성 등을 제시하였다.
초록2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s a leadership theory that the effect has been proved
consistently. Also recently it has been discussed that this theory has special characters to fit for womens' leadership. However, established positive research drew the opposite result.
Furthermore, in Korea the research related to this theory was very limited.
This study suggests the issue that the other domestic researchers didn't consider
follower's sex to prove the effe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for women. And it suggests verification the effect of this leadership on follower women staff.
In Korea, marital status has effect on career for women, marriage becomes control
function for women lead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is study took focus group of 180 women who work for call center of financial company in which sexual stereotype and sexual discrimination are relatively weak.
As a resul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for women shows static shift effectiveness on follower(junior women) staff and this effect influences more for married women than unmarried.
Based on this result, this study explains the meaning of marriage status in Korea and sexual difference related to transformational leadership. Furthermore, it suggests various direction for studies in the future.
키워드1 변혁적 리더십, 여성 리더, 결혼여부, 직무만족
키워드2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omen leader, marital status, job satisfaction